바울 사도에게 있어 골로새 교회는 직접적인 연관을 가진 교회는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바울에게 말씀을 들은 에바브라가 세운 교회이기 때문에 2장에 나오는 바와 같이, 골로새 교회의 성도들 중에서는 바울 사도의 얼굴을 보지 못한 성도들도 있었다. 그러한 교회의 성도들로 인하여 바울 사도가 괴로움을 받았다는 것은 선뜻 이해하기에 쉬운 부분은 아닐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괴로움은 직접 가해를 하는 것이라는 말이 아니다.


아이가 태어나서 자라는 과정에서, 아이는 아무런 의도를 하지 않고 자기의 생존 본능에 의거하여 울고 떼쓰고 하는 것뿐이지만 어른들은, 특히 그 부모는 그 아이로 인한 괴로움이 이루 말할 수 없는 지경인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바울 사도의 괴로움은 바로 그런 것이다. 


즉 어떤 어린 생명이 자라는 과정에서 받는 장성한 사람들의 괴로움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골로새 교회의 성도들의 신앙이 자라는 과정에서 당시의 상황처럼 신앙이 어리기 때문에 세상적인인 철학에도 휩싸이고, 또 영지주의와 같이 변질된 신앙에도 휩싸이는 그런 어린 모습을 바라보는 사도의 마음을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실재하는 괴로움이다.


교회가 진정한 신앙 공동체로, 생명 공동체로 살아가게 된다면, 그 안에서는 분명히 말씀을 먼저 깨달아 살아가는 영적으로 장성한 사람이 있기 마련이고, 또 그러한 장성한 사람들의 삶은 마치 어린 생명을 기르는 부모와 같이 신앙이 어린 사람들을 위한 각양의 수고를 감당하게 될 수밖에 없다. 


만약 그렇지 않고, 교회에서 어른이라 여기는 목사나 장로들이 귀찮아지지 않도록 제도적으로 어떤 규약을 만든다면, 그곳은 생명공동체가 아니라 그냥 조직체로서의 교회이고, 그건 모든 세상의 조직과 다를 바가 없으며, 또 목사가 설교 준비를 위하여 토요일에 결혼식 주례를 거절하는 것과 같이, 나이나 직분과 같은 형식으로 어른 된 사람들의 수고를 회피하려는 모든 의도는 생명을 기를 수 있는 장성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나는 장성한 사람도 아니고, 신앙이 아주 어린 사람입니다' 라고 자백하는 것이다. 어린 생명이 아닌데 그렇게 보호할 이유가 없지 않겠는가? 장성한 사람들인 군인들이 일요일이라고 나라 안 지키겠는가? 훈련해야 하니 보초서는 일을 감하겠는가? 그렇듯 장성한 사람들에게는 그런 일이 있는 것이 아니라, 어린 생명을 위하여 괴로운 수고를 감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이 골로새서 1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우리는 진정한 사도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다.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을 전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지금 사도 바울 사도가 전한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가 모든 것 되신다는 것이었다. 


그것에는 세상에서 그 사람이 어떠한 모습이나 지위이던 상관하지 않고, 그 사람 안에 '그리스도의 성품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그것으로만 교회 안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그 복음을 전한 것이다. 바울 사도가 그렇게 전한 것은 세상에서 살인자로 살아도 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교회에 오는 그의 모습이 어떤 모습인가 하는 것이다. 


바울 사도가 전한 것은 그리스도가 세상 만물의 모든 것이라는 것과, 세상의 모든 것이 다 그리스도를 지향한다는 것과, 모든 것 보다 그리스도가 먼저 있었다는 것과, 또 세상의 모든 것이 그리스도로 비롯되었다는 것을 전하였다. 


물론 오늘 우리가 믿어야 하는 것도 그것이다. 그것은 한마디로 그리스도 하나면 족한 것이며, 또 우리 삶의 모든 것은 그리스도에 수렴해야 한다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예수를 믿는 것에, 세상에서 온 지식이나 예의범절이나, 나이나, 부유함이나, 권력이나, 혈통과 같은 그 어떤 것도 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며, 그리스도를 위하여 있는 것이며, 그리스도로 인하여 있는 것이지, 예수를 믿고 살아가는데, 아니 어쩌면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그리스도에 부가되어야 할 요소는 아니다.


또한 이것은 생명의 세계이므로 그 안에 그리스도가 있으면 그 사람이 변하여 세상에서도 사랑하는 사람이 되는 생명의 세계이고, 또한 바울 사도가 전한 바와 같이 그리스도는 모든 것이 되시므로, 그 안에 그리스도의 생명이 풍성하게 된다면 세상의 모든 것에 관하여도 참 충실한 사람이 될 수  밖에 없는 그런 생명의 세계인 것이다. 


마치 개로 태어나면 '멍멍'하며 짖을 수밖에 없는 것처럼 말이다. 즉 생명의 세계는 안에서 밖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기에 생명이 주신 하나님의 영이 그 안에 있으면 그렇게 변해가는 것이지, 예수 믿으니 이러해야한다는 것은 밖에서 안으로 변화를 이끄는 가공의 법이요 생명의 법이 아니다.


바울 사도가 전한 것은 바로 그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사도란 그것을 전할 때 사도가 되는 것이다. 신앙고백이 아니라 학력으로 목사가 되어 강단에 서서, 세상적인인 성공으로 유혹하고, 기왕이면 다홍치마라는 식으로 예수 믿는 사람이 세상에서 성공하면 할수록 좋은 것이라 가르치는 것은 사도가 아닌 것이다. 


왜냐하면 바울 사도가 전했듯 전할 수 없다는 것은 그 안에 생명이 없기 때문에 조직적인 방법으로 복음을 전해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찌 수고와 손해를 감당하지 않으려, 토요일에는 주례도 거부하고, 목사로 대접 받고, 장로로 인사 받기를 은근히 바라는 마음으로 살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바울 사도가 골로새서 1장 마지막에서 보여준 자신의 마음은 자신의 속에 있는 능력으로 역사하시는 이의 역사를 위하여 수고한다는 것이다. 여기에 나오는 수고한다는 의미는 어린 생명으로 인하여 받는 괴로움을 감내하면서 가는 그런 수고를 말한다. 단순히 복음만 전하고 다른 수고는 하지 않는 그런 수고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복음을 전하기 위하는 삶은 말씀만 전하고 사라지는 그런 모습이 아니라, 복음을 전하는 것을 위하여 사람이 모이면 발생하는 모든 번거로움, 청소와 음식을 준비하는 것과 같이 모든 육신의 수고를 감당하면서 최선을 다하는 수고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내내 말해 온 공로와는 다른 것이다. 공로는 그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신앙의 지표로 삼는 것이고, 이것은 복음이 그 마음 안에 있으므로 그것이 표현되는 것이다. 방향이 다르다는 이야기다. 


그러므로 바울 사도는 세상적인인 것이 더해져서 더 좋은 신앙이 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충만 이신 예수 그리스도 그 하나만 있으면 된다는 것을 전하는 사도요, 또 모든 것 되시는 주님을 위하여 자신의 모든 것을 들여 수고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런 말씀을 전하고 있는 이유는 단 한가지이다. 이 글을 읽는 골로새교회의 성도들과 또 지금의 성도들도 그런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것, 그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