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어서 바울 사도는 

’예수님의 십자가의 피로 화평을 이루사 만물 곧 땅에 있는 것들이나 하늘에 있는 것들을 그로 말미암아 자기와 화목케 되시기를 기뻐하심이라(골 1:20)

라고 하고 있다. 기뻐하시는 주체는 하나님이시다.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이나 다 예수님과 화목케 한다고 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약성경에 기록된 제사에 대하여 생각해 봄으로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성경에 나오는 제사들이 있는데, 모든 제사의 기본인 번제와 속죄제 등의 제사들은 항상 흠 없는 수컷을 제사로 드리게 되어 있다. 이는 그 시대에는 여자와 암컷은 다 부정한 것을 의미했다. 그래서 제사에는 올리지 않았는데, 유독 마지막 제사에 속하는 화목제의 경우 암컷이라도 무관하게 제사를 드릴 수 있었다.


암컷을 제사에 드리지 않음이나 여자를 인구의 계수에도 치지 않은 것은 육신으로 여자인 것을 부정하게 여김이 아니다. 만약 그렇다면 슬로브핫의 세 딸들은 땅을 분깃으로 받지 않아야 했지만 모세는 이를 나누어주었다.(민 36장) 


그러므로 이는 육신이 여자인 것이 아니라, 그 신앙의 상태가 씨와 같은 하나님의 말씀이 없는 존재를 말하는 것으로, 하나님의 말씀이 없는 모든 인생을 다 여자와 같이 보시고, 그것을 부정하게 여기시는 것이다. 그래서 성도들을 예수님의 신부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하나님을 믿지 않는 사람이나, 세상적인인 요소를 하나님께 제사로 드리지 않는다는 말씀을 하시고자 하심이 암컷을 제사로 드리지 못하게 하신 것이다.


그런데 유독 화목제만은 암컷도 제사를 드릴 수 있게 하신 것이다. 이것은 화목하게 하는 것에 있어서는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 없다 하여도 그 사람과 같이 어울리게 하심이다. 화목제란 그런 것이다. 그래서 바울 사도는 예수님의 십자가의 피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땅에 있는 것들이나 같이 화목케 하신다고 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고 하신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렇다는 것인가? 하나님께서 화목제를 그리게 하셨는가? 즉 하나님을 모르는 것, 어떻게 보면 본질이신 하나님이 아닌 형식과 겉치레인 세상의 것과 화목하게 하셨는가 하는 것이다.


그것에 대하여 바울 사도는 앞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모든 것이라고 했다. 세상의 모든 만물들이 존재하는 이유와 지향하는 모든 것이 다 그리스도를 위함이라고 했다. 그리고 또 모든 충만함이 그 안에 있는 예수께서 땅과 하늘이나 모든 것과 화평케 하도록 십자가에서 피를 흘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예수님의 피가 어떻게 오늘 우리의 죄를 사함으로 하나님 앞에서 여자와 같은 인생들이 화목제와 같이 드려지게 되는지에 대하여 말씀하고자 하심이며, 또 한편으로 땅이 하늘과 화목하게 된다고 하는 것은  골로새 교회가 당면했고, 또 오늘의 큰 교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인, 땅에서 난 학문과 소유와 공로가 하나님인 하늘과 화목하게 되었다는 것인데, 


그것은 땅에서 난 지식과 소유와 공로가 하나님과 연합이 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하늘의 뜻에 맞게 화목 되었다는 것, 즉 그 모든 것은 하나님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는 것이고, 그것을 위하여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피를 흘렸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하늘이 변하면 땅이 변하는 것이지, 땅이 변한다고 하늘이 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하늘이 봄이 되어야 꽃이 피는 것이지, 꽃이 펴서 계절이 봄이 되는 것이 아니듯, 세상의 모든 지식과 소유와 공로도 다 이와 같이 하늘에 속한 것이지, 그것을 어떻게 한다고 하늘과 같은 하나님의 뜻과 믿음이 바뀌는 것이 아니라는 이야기인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의 십자가의 제사가 암컷도 제물로 드려지는 화목제도 함께 드린 제사가 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살펴본다면, 예수님의 십자가로 인하여 하나님의 뜻이 사람과 화목하게 되어, 하늘의 뜻이 땅에서도 이루어지는 것, 즉 하나님의 마음이 사람 안에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 사건이 바로 십자가의 사건이며, 


그와 같이 육신이라는 형식을 가진 사람의 모든 것이 주를 위하여, 또 주로 인하여 있게 되는 것과 같이, 사람이 구현한 모든 지식과 소유와 공로 역시 또 하나의 형식으로서 하나님의 뜻과 의 앞에 수용되고 하나님의 뜻에 종속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당시의 골로새교회에는 그런 형식이 부가 되어 세상적인인 역량이 있을수록 교회에서 인정받게 되는 신앙적 변질이 있었기에 바울 사도는 이렇게 강변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때와 같이 지금의 큰 교회들도, 그 날의 골로새 교회와 같이, 세상적인인 경쟁력이 있을수록 교회 안에서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미명 아래 더 인정받는 모습을 자랑하고, 그렇게 될수록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가르치고 있으니, 오늘날의 큰 교회들도 골로새 교회를 향한 바울 사도의 말씀을 깊이 상고해봐야 할 것이라 생각이 된다.


그러므로 세상의 것이 하나님 안에서 화목이 되려고 하는 것은 그 목적에 맞게 사용되고 존재할 때이다. 그 목적은 다른 것이 아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가 나오는 것에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세상의 것이 하나님의 아들이 나오는 것을 위하여 사용된다는 것은, 철학이나 과학이나 재물이나 명예나 그 어떤 것이라도 하나님의 복음과 뜻과 결합되어서 그것에 가미되어 시너지를 나타ㅐ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곧 하나님의 아들이자 하나님의 성품이 표현되는 것을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때 화목한 것이 되는 것이라는 말씀을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