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48

(치유) 부활 (5)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치유 Date : 2013. 5. 20. 13:55 Writer : 김홍덕

이것은 그 사람의 말과 설교를 들을 때가 아니라, 십자가 밑의 백부장과 같이 그 사람을 볼 때 보는 사람이 깨달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큰 교회들의 목사들이 하는 설교를 듣고서 하나님이 누군지 지식적으로 알 수는 있다. 


하지만 그들의 삶을 보면서 저것이 그리스도의 삶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이는 잘 없다. 더욱이 그 목사를 보니 나도 그렇게 될 수 있겠다는 확신을 가지게 하는 이는 더더욱 만나기 힘들다. 왜냐하면 보통사람은 신학도 하지 않았고, 목사도 아니며, 그렇게 종교적으로 고상한 모습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적어도 그 목사는 세례 요한과 같이 전하는 사람일수는 있어도 그리스도를 대신하는 사람은 아닌 것이다. 그것이 오늘날 큰 교회의 큰 맹점이기도 한 것이다. 듣고 깨달을 수는 있을지 몰라도 보고서 나도 그렇게 될 수 있겠다는 확신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 부활하셔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대로 사람의 죄를 사하는 것은 행위로 지은 죄를 사하는 것이 아니다. 예수님께서 그런 죄를 사하러 오신 분이 아니다. 행위에 관한 죄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고 그 기준도 그저 세상에서 온 것일 뿐이다. 


예수님께서 사하라고 하신 죄는 정체성의 죄인 것이다. 즉 존재가 자리를 벗어난 것에서 구원하는 것을 말씀하심이다.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심으로 또 부활하심으로 보여주신 우리의 정체성이 그것이고, 사하여 주신 죄가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는 그 가치관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사람의 죄를 사하여 준다는 것은, 나를 볼 때 보는 사람이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두신 뜻이 무엇인지를 알게 하는 것이 죄를 사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부활 생명을 가진 사람의 삶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다시 살리신 것이다. 


계란이나 까 먹으면서 형식적으로 부활절이나 지키라고 그렇게 하신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나는 되는데 너는 되지 않는 것을 주장하면 뜻이 전달될 수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나에게 의미가 없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그리스도와 같이 그 정체성을 깨달아 그것으로 살게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큰 교회의 목사와 같이 신학에다 각종 종교적 이력으로 가득한 사람은 할 수 있는 것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이 할 수 없다면, 그것은 그 목사에게는 의미가 있을지 모르지만 그런 신분이 아닌 사람에게는 어떤 의미도 없는 것이다. 오히려 약 올리는 것이 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렇게 다른 사람에게 의미 없는 존재는 부활 생명이 아닌 것이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아주 천한 신분으로 오셔서 발가벗겨진 죄인으로 죽으신 것이다. 그건 누구나 될 수 있는 자리이고, 의에 관해서는 누구나 다 그렇기 때문인 것이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로마 황제로 보낼 수 없어서 말구유에 나게 하신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로마 황제로 오면 세상에서는 늘 한 사람만 구원 받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인 것이다.


부활이란 것은 놀라운 것이다. 죽임이라는 절대적 운명을 짊어진 사람에게 있어 죽고 난 다음에 다시 산다는 것은 벅찬 일임에 틀림 없다. 하지만 다시 산다고 했을 때, 다시 사는 삶은 분명히 그 이전의 삶과는 달라야 한다. 그래야 다시 사는 것이다. 


다시 살아났는데 이전과 같은 모양으로 산다면 그것은 삶에 마디가 하나 생긴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죽기 전에는 세상의 가치관을 가지고 부유할수록 의롭고, 신분이 높을수록 권위가 있고, 고상할수록 대접받는다고 여기며 살고, 그것을 추구하다가, 


그 법 앞에서 죄인이 되어 죽게 되면 하나님께서 다시 살리셔서 새 삶이 주어졌을 때는 이전에 가졌던 가치관은 버리고 사람이 가진 연약함을 인정하고 사람 안에서 나오는 것을 악하게 여기는 것이 아니라, 나의 모습이 그렇다는 것을 인정함으로 사람 앞에서 겸손하고, 또 다른 사람도 나와 같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것을 알게 된다면 사람들이 그 연약함으로 인하여 표현하는 각양의 까칠한 모습을 사랑하고 용납하는 삶을 살게 되는 부활한 삶이 되는 것이고, 또 그렇듯 자신이 위대해지려고도, 고상해지려고도 하지 않으면서 다른 사람의 연약함을 용납해가는 모습을 보는 사람이 또한 그와 같이 되고 싶고 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게 하는 삶이 바로 부활의 삶이고, 그것이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다시 살리신 이유고 교훈이며, 모든 기적과 모든 치유를 우리 앞에 보이신 하나님의 뜻인 것이다.

'주제별 성경 보기 > 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유) 귀신 들린 자의 회복 (2)  (0) 2015.02.04
(치유) 귀신 들린 자의 회복 (1)  (0) 2015.02.04
(치유) 부활 (4)  (0) 2013.05.20
(치유) 부활 (3)  (0) 2013.05.16
(치유) 부활 (2)  (0) 2013.05.10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치유) 부활 (4)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치유 Date : 2013. 5. 20. 13:26 Writer : 김홍덕

죽음이란 그런 것이다. 육신으로도 죽을 고비를 넘긴 사람은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진다고 하는데, 영적인 죽음을 맛본 사람은 그 보다 더할 것이다. 세상에서 경쟁력으로 삼고, 의롭게 여기는 기준들에 대하여 십자가를 지신 예수님과 같이 죽음을 맛본 사람은 그 가치관이 다르다. 살아가는 형식에 관해서 의미를 두지 않는다. 그 마음 안에 돈과 명예와 고상함과 같은 어떤 것도 중요하지도 않고, 또한 신앙에 있어 부가될수록 좋은 것이라 여기지도 않는다. 그것에 대하여 죽었기 때문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다고 했다. 그렇다. 죽은 사람은 말이 없다. 그러므로 어떤 세계에 대하여 죽은 자는 말이 없다. 육신에 관하여, 육신의 어떠함에 관하여, 먹고 사는 것과 육신의 부귀영화에 관하여 죽은 자로 발견되었다면 그것에 관하여 어떤 자극에도 말이 없을 것이다. 그것에 대하여 죽었으니까? 그것이 죽음이다. 부활은 육신의 어떠함에 대해 그런 죽음을 맛본 사람에게 있는 것이다. 즉 육신의 경쟁력에서 패하고, 육신의 경쟁력 앞에 죽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아는 사람을 하나님께서 살리시는 것이다.


바로 그 죽음이 있어야 하나님이 살리시는 것이다. 그런 죽음도 세례도 없이 하나님께서 살리시지 않는다. 살릴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히스기야 왕이 그랬던 것처럼 살려 놓아도 죽기 이전과 같이 산다면 살릴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는 예수님께서 살리신, 또 선지자나 사도들이 죽음 가운데서 살려 놓은 사람이 역시 죽은 것과 같은 것이다. 육신의 어떠함은 살려 놓아도 여전하다는 것이다. 그런 삶과 그런 육신의 죽음에 대하여 하나님께서는 부활을 생각지 않으신다. 부활은 의에 대하여 의에 대하여 살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의는 목적이요,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과 같은 것이다. 이렇듯 세상의 의에 대하여 죽은 사람을 하나님께서 살리시는데 이것이 바로 부활이다. 


이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이 땅에서 병든 자를 고치시고, 또 죽은 자를 살리시면서 우리에게 주시고자 한 교훈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훈이 자기의 삶이 되었을 때, 그 사람 안에 부활의 생명이 있는 것이다. 부활이라는 것이 하나님만 아시는 때에, 예수님께서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게 재림하시는 날 무덤에서 모든 사람이 육신을 회복하여 살아나는 것만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다. 아니 오히려 그렇게 되려면 지금 살아가는 그 사람의 삶이 부활한 생명으로 살고 있어야 그것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먼저 프로야구 선수가 되어야 프로야구 경기에 참가 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삶 안에 부활의 생명과 증거가 없는데, 실재적은 부활을 얻을 수는 없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구원이 신앙과 부활의 시작이라면 부활은 삶의 시작이다. 육신의 삶이 아니라 하나님의 생명으로 사는 삶의 시작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은 구원이 신앙의 목표가 아니라 구원은 어떤 생명이 되는 시작이고 부활은 그 생명으로 살아가는 존재가 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구원은 거듭남이라고 하고,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땅 끝까지 가서 증인이 되라고 하신 것이다. 즉, 예수님과 같이 살아가라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부활이 주는 의미이기도 한 것이다. 비유하자면 구원과 거듭남은 태어남이고 부활은 장성하여 그 아버지의 생명을 표현하며 사는 삶 자체인 것이다. 그것이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부활하신 모습으로 나타나신 이유인 것이다. 예수님께서도 부활하신 다음에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뉘 죄든지 사하면 사하여질 것이요 뉘 죄든지 그대로 두면 그대로 있으리라(요 20:23)” 하신 것이다. 


그것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심 같이 죽고, 또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서 어떤 죽음에 대하여 하나님께서 살리시는지를 알게 된 사람으로서 예수님께서 보여주심과 같이 삶으로 보여주라고 하신 것이다. 그것이 부활을 보이신 하나님의 뜻인 것이다.


그렇다면 예수 그리스도로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예수님의 삶은 그 삶을 볼 때, 보는 사람이 그 스스로의 정체성을 회복하게 하는 삶이다. 무슨 이야기냐 하면, 예수님의 삶과 십자가를 보면 우리 인간이 세상에서 의롭게 여기는 기준 앞에서는 늘 죄인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과, 그렇게 죄인이 되어 십자가라는 죄인의 틀에 죽게 되지만 그것이 하나님께서 원하는 정체성의 발견이고 그것이 하나님께서 사람을 통해서 나타내고자 하는 하나님의 형상이기에 그것을 자신의 모습으로 받을 때에 예수님과 같이 하나님의 아들이 되는 것이며, 그렇게 하나님의 아들로서 세상의 법으로 죽은 자와 같이 되었을 때 하나님께서 살리신다는 것을 알게 하신다는 것이다. 그것이 예수님의 삶이었듯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그 사람이 사는 것을 보니, 그것이 하나님의 아들과 같은 삶이며, 나도 그렇게 될 수 있겠다는 믿음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



'주제별 성경 보기 > 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유) 귀신 들린 자의 회복 (1)  (0) 2015.02.04
(치유) 부활 (5)  (0) 2013.05.20
(치유) 부활 (3)  (0) 2013.05.16
(치유) 부활 (2)  (0) 2013.05.10
(치유) 부활 (1)  (0) 2013.05.09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치유) 부활 (3)

Category : 주제별 성경 보기/치유 Date : 2013. 5. 16. 14:50 Writer : 김홍덕

이스라엘 백성들이 홍해를 건넜기에 가나안에 들어갔듯이 한 개인의 신앙도 피라미드의 법이 있는 세상을 떠나는 죽음을 맛보아야 한다. 큰물을 건너는 것은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것이 세례이다. 세례를 받는다는 것은 물에 잠겼다 나오는 것을 말함인데, 이것은 물에 들어가기 전과 물에서 나온 다음의 삶이 다르다는 것을 증거 하는 예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리 물에 들어갔다 나와도 삶이 달라진 것이 없다면 세례를 받은 것이라 할 수 없는 것이기도 하다. 즉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 해도, 그 마음 안에 예수 믿어 세상에서 주는 복을 받겠다고 여긴다면 그것은 세례를 받지 않은 것이다. 무늬만 세례인 것이다.





이렇듯 세례는 그 전의 삶과 이후의 삶이 다른 것이다. 홍해를 건너기 전의 이스라엘 백성과 건넌 다음의 이스라엘은 다른 백성이듯이 각 개인의 신앙도 세상의 법에 대하여 큰물에 잠겼다가 나온 것과 같이 죽은 자 같이 된 사람은 신앙 안에서 세상의 형식에 대하여 의를 두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교회 안에서 사람의 형식에 관한 재물이나 지위나 예의 같은 것이 있어야 좋은 신앙이라고 여기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그런 모든 것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가치 기준이었는데, 세례를 받고, 구원을 받은 사람이 또 다시 그것을 추구하지는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다시 건너 애굽으로 가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곳에는 죽음 밖에 없다.


이것은 새로운 세계이다. 세상에 살면서 세상이 가진 가치관과 다르게 사는 세계가 열리는 것이다. 이것은 하나님의 세계이고, 이 세계에 대한 태초가 열린 것이며, 빛이 비취어 어둡던 눈을 뜨게 된 것이며, 중풍병도 귀신 들린 것도 아닌 모습으로 온전히 하늘의 뜻이 사람의 삶에 이루어져서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게 되는 새로운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거듭남인 것이다. 이것이 새 생명인 것이다. 단순히 부정하던 교회를 다니게 되었다고 새 생명이 아니라는 것이다. 세례를 받아도 가치관은 그대로 가지고 있어서, 신앙에도 교회 생활에도 그런 가치관으로 치장한 것이 무늬만 세례이듯, 인생을 보는 가치관과 세상을 보는 가치관이 전혀 달라진 것이 없이 교회만 다닌다고 새 생명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 세계는 삶을 보는 안목이 달라져야 하는 것이다.


'주제별 성경 보기 > 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유) 부활 (5)  (0) 2013.05.20
(치유) 부활 (4)  (0) 2013.05.20
(치유) 부활 (2)  (0) 2013.05.10
(치유) 부활 (1)  (0) 2013.05.09
(치유) 죽음 (3)  (0) 2013.05.06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