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19

이렇듯 하나님에 대한 인식을 하기 시작하면서 부터 사람은 자기의 삶을 둘러싸고 또 구성하고 있는 일들에 대하여 새롭게 생각하기 시작한다. 성경에서 나오는 <감사>라는 것이 교회에 다니니 하나님께 그저 감사해야 하는 단계가 아니라 실제로 자신의 삶을 영위하는 순간 순간을 감사하게 된다.


그것은 빛으로 말미암아 그렇게 된다. 이전에는 어두운 방에 들어가서 방에 있는 선풍기, 책상, 침대 등에 부딪히듯 자신의 정체성을 알지 못하는 삶 속에서 자신의 삶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것으로 인하여 늘 고통을 받고 살다 보니 모든 것이 혼란스러웠던 것이다. 그것은 인생이 고달파서가 아니라, 오직 어두워서 그런 것이다. 무엇에 대하여 어두운가 하면 그것은 하나님에 대하여 어두웠기 때문인 것이다.


그러다가 하나님이라는 인식의 세계가 자신 앞에 열리면 이전에 나를 괴롭히던 세상과 삶의 요소들이 하나둘씩 존재의 이유를 알게 되고, 그 이유가 나로 하여금 하나님을 더 알아가는 것에 도움이 되라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삶의 한 절, 한 절을 감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은 그렇게 자신의 정체성의 세계가 시작되면 그 세계에 대하여 더 알고자 하고 더 그것을 누리고 싶어한다. 그것은 너무 당연한 것이다. 그렇게 하나님의 빛으로 하나님의 세계가 열린 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목마름을 해갈하기 위하여 물을 찾아 헤메었지만 늘 마셔도 목 말랐던 이유를 알게 된다. 빛이 있기 때문에......


그때가 되면 사람은 자신이 먹어야 할 물과 먹어서는 안되는 물을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마치 사회가 고도화 되면서 마시는 물을 '상수'로 마시지 못하고 버리는 물을 '하수'로 점점 세분화 하게 되듯이 하나님에 대하여 알게 되면 알게 될수록, 빛이 밝아지면 밝아질수록 인생의 정체에 대한 해갈을 무엇으로 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된다.





성경은 이것을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로 물이 나뉘게 하셨다고 표현하셨다. 그것이 둘째 날이다. 필자 역시 하나님에 대하여 새롭게 알기 시작한 이후에는 무엇이 내가 마셔야 할 물, 곧 무엇이 내 것으로 삼을 말씀인지, 무엇이 나를 갈증나게 하는 것인지를 하나씩 알게 되었다. 물이 점점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로 나누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전에는 나의 행위로 하나님께 의롭게 여김을 받으려 했기에, 이것을 하라, 저것을 하지 마라는 것을 마셨다. 기도해라, 성경 봐라 하는 말씀을 먹었던 것이다. 하지만 하나님의 빛으로 시작된 새로운 인식 아래에서는 그것이 아니라, 내가 하나님 앞에서 어떤 존재인가? 하는 것에 대한 것을 마시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궁창 위의 물과 궁창 아래의 물이 나누어지는 사건인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그러므로 천지창조는 그리스도라는 정체성이 나의 삶이 되는 것이라는 인식이 시작될 때, 그 때가 시작이고, 그런 인식이 있기 시작하는 그 때가 바로 빛을 만나는 순간이 되는 것이다. 필자도 어려서 부터 교회를 다녔고, 집안 자체가 고향인 대구에 기독교가 전파되던 그 시점 부터 대대로 교회를 다니던 집안이기에 어려서 부터 성경을 알고 자랐지만 대학생이 되고 생각이 있기 시작하자, <"이 신앙에 대하여 제대로 알고 교회에 다니는가?">하는 질문에 부딪혔다. 그것이 바로 땅이 혼돈하는 것이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를 기준으로 본다면 나이 30이 될 때까지 신앙에 대하여 시도한 많은 검증들이 혼돈이었던 셈이다. 그러다 이 성경의 말씀이 <행위(규범)>가 아니라 <존재(규범)>에 관한 말씀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그 때가 바로 빛이 비췬 날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시작이었던 것이다. 그 이전에 어떻게 예수를 믿었던 간에 ......


사람이 빛을 만나면 모든 것을 인식하고 모든 것의 의미를 알고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하게 된다. 늘 자신이 거하는 방도 빛이 없고 어두우면 늘 사용하던 선풍기에, 책상에, 침대에 부딪혀서 다치기도 하는데, 그것은 혼돈인 것이다. 그때는 만사가 다 나를 괴롭히는 것이 된다. 내가 늘 사용하는 물건들, 아끼는 물건들 그 모든 만사가 다 나를 괴롭히는 것 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그것은 그것들이 나를 괴롭히려 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단지 빛이 없어서 그런 것이다.


그러다 방의 불을 밝히면 모든 것은 다 나를 위한 것으로 돌변한다. 책상도 선풍기도 침대도 다 나의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물건이 되고, 나 또한 그 모든 것의 존재 목적을 알고 그 목적대로 사용하는 것에 전혀 지장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것이 빛인 것이다.





이와 같이 사람이 인간으로서의 정체성과 살아가는 이유와 목적에 대하여도 빛을 만나기 전에는 이 세상은 늘 괴로운 것이고, 세상의 모든 일은 다 나를 버겁게 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어떤 빛을 만나면 어두웠던 방에 불이 들어 온 것 같이 세상의 모든 것이 다 나를 위한 것이고, 이 모든 것이 존재하는 목적을 알게 되어 내가 그것을 다스리고 누리며 살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아담에게 세상의 모든 것을 다스리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사람이 바로 그렇게 살 수 있게 되는 빛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하나님의 빛인 것이다. 그래서 창세기에 하나님께서 빛이 있으라 하신 것이다. 하나님께서 있으라고 한 빛은 당연히 하나님의 빛이다. 그리고 이 빛에 대하여 예수님께서는 당신께서 그 빛이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그래서 이 천지창조가 그리스도의 성품을 알게하는 과정이 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어두운 방에서 자기 물건에 치이는 사람들이 오히려 자기 물건을 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등과 같이,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주신 이 땅에서의 삶이 자기를 괴롭히고 힘들고 지치게만 하는 것 같은 세상의 모든 만사를 자기 방의 물건과 같이 목적대로 사용하고 다스리게 하는 빛이시라는 것이다. 


이 빛이 바로 천지창조를 시작하는 빛인 것이다.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 정체성을 알게 하고, 사는 목적을 알게 하며, 이 세상의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위하여 주신 하나님의 선물임을 알게 하여 감사하게 하는 삶이 되도록 하시는 하나님의 세계가 시작되고 인식되는 그 시작의 빛이 바로 창세기 1장에 하나님께서 있으라고 하신 빛인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다시 한번 창세기에 나오는 천지과정의 전과정을 한번 요약해 보자. 첫번째 날의 시작은 <빛이 있으라>는 말씀이었다. 이것이 시작이라고 하셨다. 이것에 대하여 필자는 <빛 = 인식>이라고 했다.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 (창세기) 천지창조 첫째 날 - 빛이 있으라(1) 빛의 물리적 성격이 무엇이냐는 중요하지 않다. 빛이 있으면 인식할 수 있다. 그래서 희망의 빛이라는 말도 있고, 컴맹이라는 말도 있는 것이다. 컴퓨터를 모르면 빛이 없다는 의미로서 말이다.


그러므로 천지가 창조되는 것은 어떤 것을 인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그 무엇이 무엇이냐고 할 때, 그것은 이 빛을 누가 있으라고 했느냐 하는 것을 보면 된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께서 빛이 있으라고 하셨기 때문에 이 인식은 하나님에 대한 인식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한 사람이 그리스도의 성품과 안목으로 세상을 알아가기 위해서는 하나님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하고 그 인식에서 부터 시작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빛 이전에는 어떠했는가? 그것은 <땅이 혼돈하고 흑암이 싶음 위에 있다>고 했다. 여기서 한 가지, 땅이 혼돈하던 이때는 태초보다 이전 아닌가? 그럼 이때의 시간 개념은 또 무엇인가? 그러므로 이것은 객관적인, 그러니까 달력이나 시계로 환산하는 시간과 그 시작에 대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어쨋던 하나님에 대한 인식 이전에는 땅이 혼돈했다 했는데, 땅이 혼돈했다는 것은 사람이 혼란스러워 한다는 것이다. 성경에는 사람을 흙으로 만드셨다고 했다. 그래서 성경에는 많은 부분에서 사람을 땅으로 표현한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하나님께서 농부라는 말씀이다. 농부가 씨를 뿌리듯이 사람이라는 땅에 하나님의 말씀을 듣게 하신다는 것이 바로 그 표현이고, 이렇듯 땅은 사람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러므로 땅이 혼돈하고 있다는 것은 하나님을 만나기 전의 사람은 혼돈스럽다는 것이다. 그리고 어둡다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에 대하여 어둡다는 것이기도 하고,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에 대하여 어둡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 천지창조의 과정이 결국은 <그리스도>의 성품을 가지게 되는 것이기에 흑암은 다른 흑암이 아니라 그리스도에 대한 흑암인 것이다.


그리고 이 흑암, 즉 그리스도에 대하여 모른다는 것이 바로 땅이 혼돈하는 것과 같이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리스도를 모르면 사람이 혼돈스럽다는 것이다. 사람이 가장 혼돈스럽고 인류가 답을 쉽게 얻지 못하여 혼돈하는 모든 것은 결국 <사람이 무엇인가?>, <인생이 무엇인가?>, <왜 사는가?>와 같은 인간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를 모른다는 것은 인간이 인간의 정체성을 모른다는 것이다. 그것이 혼돈이고, 어두움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천지창조의 과정을 통해서 한 사람이 그리스도를 알게 된다는 것은 결국 한 사람이 <사람이 무엇인가?>, <인생이 무엇인가?>, <왜 사는가?>와 같은 인간 정체성에 관한 해답을 얻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시작은 과학이나 철학이나 또는 돈이나 업적이 아니라 하나님이라는 빛으로 인한 인식으로 부터 시작된다는 것이 바로 천지창조의 과정인 것이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