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엑소더스>는 기본적으로 이스라엘의 출애굽을 기록한 성경을 바탕으로 한 영화다. 이 영화를 보고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바로 모세의 손에 끝까지 들려져 있었던 애굽의 장군으로서의 칼이었다. 성경에서는 모세가 양을 치던 지팡이를 가지고 출애굽을 한 것과 완전히 다른 설정이다.






백성을 출애굽 시키시기 위하여 부르신 양치는 목자의 손에 지팡이가 아닌 애굽의 장군을 상징하는 칼을 들렸다는 것이 이 영화의 모든 것이다. 하나님의 일을 사람의 시각과 철학과 지식으로 채색했다는 상징이라는 것이다.


이는 앞에서 포스팅 한 것과 같이 출애굽이라는 사건에 대한 상식으로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의 생각과 성경을 믿어야 한다는 어떤 강박을 연결하려한 시도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그런 시도의 가장 유명한 단체가 창조과학회가 아닌가 싶긴 하다.)


그 뿐 아니라 영화 전반에는 성경을 과학적이고 상식적인 접근으로 해석해 보려는 시도가 분명해 보였는데, 물이 피로 변한 원인이 악어의 출몰이라는 설정, 그리고 물이 피로 변하면서 먹을 것이 없어진 개구리가 떼로 나타났다고 하는 것, 그리고 그렇게 부패한 사체들에서 파리가 나오고 병이 생겼다고 하는 것들이 얼마나 성경에 기록된 열 가지 재앙을 상식적으로 접근하려 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마지막 재앙을 제외하고도 많은 재앙들이 애굽 백성에게는 해당이 되었으나 히브리인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과 같은 것에는 접근을 절제(?)했다는 것에서 굳이 그것을 한계였다고 폄하하기 보다 성경을 믿음이 아닌 상식으로 보는 어두운 안목의 한 단면이 아닌가 싶다.


하나님의 출애굽은 신과 왕이 자기 백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다. 외형적으로 볼 때 이스라엘 히브리 족속의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구하는 이야기로 보일지 모르지만 그 전반의 과정은 한 사람, 사람이 세상에서 자신의 고향(정체성)을 회복하는 과정을 말씀하시는 성경이다.


그런 하나님의 말씀을 히브리민족이라는 한 민족에 국한시킨 것도 편협한 것이지만, 성경의 말씀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이고 상식적인 이해가 믿음이나 이해라고 생각하는 것이 가장 근원된 문제이다. 그런 문제는 사실 이런 영화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교회나 종교인들 안에도 얼마나 많은 안타깝다.


세상에서 성공하면 하나님께 영광이 된다고 가르치는 교회의 골격이 되고 있다. 그 모습이 홍해를 애굽의 장군을 상징하는 칼을 들고서 건너려고 하는 모세의 모습을 설정한 영화와 같은 것이다. 이는 조금의 오차도 없는 불편한 진실이다.


신앙은 믿지 못하는 것은 안 믿는 것이 옳다. 마음에 믿지 못하겠는데 믿어야 한다니 최면을 걸듯 신념을 가지고 "믿습니다!"할 것이 아니다. 그리고 더 나쁜 것은 타협하는 것과 성경을 사람의 지식으로 가감하는 것이다. 믿기지 않으면 안 믿긴다고 고백하는 것이 가장 정직하고 가능성 있는 심령이다.


믿지 못하겠다는 사람은 마음이 열리면 믿을 수 있다. 하지만 모세의 손에 칼을 들리운 관점, 세상에서 성공하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고 믿는 관점, 성경을 과학적으로 증거를 대려고 하는 생각, 성경을 상식과 이치로 이해하려는 모든 것은 이미 자신의 생각이 채색되었기에 안 믿는 것 보다 더 어려운 것이다.

'김집사의 뜰 > 복음 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대와 신념과는 다른 믿음  (0) 2015.01.29
영화 <쿼바디스>를 보고  (0) 2015.01.04
영화 <엑소더스>에 나타난 타협  (1) 2014.12.08
아들의 수능일  (0) 2014.11.13
모세의 시체  (0) 201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