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2603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히브리서는 성령에 참예하고서 타락한다는 말씀을 하고 있다. 그것은 먼저 성령에 참예했다는 것이다. 타락이란 당연히 성령에 참예함이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고 그 자리에서 떠난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그리고 이 타락에 앞서 어떤 완전함을 말씀하고 있다. 그렇다면 타락은 그 완전함에서 떠나는 것이라는 말씀이다. 완전함은 그리스도 도의 초보를 버리고 죽은 행실을 회개함과 하나님께 대한 신앙과 세례들과 안수와 죽은 자의 부활과 영원한 심판에 관한 교훈의 터를 다시 닦지 않는 것이라고 말씀한다. 여기서 특히 주목할 것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다시>라는 말이다. 완전함은 다시 하지 않는 것이다. 한 마디로 하나님께서 말씀하시는 의도가 온전히 다 이루어진 상태를 말씀하시는 것이다.


이러한 말씀의 전개는 단계를 나눌 수 있다. 먼저는 “타락을 염려하기 전에”라는 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하나님께 세상의 성공이라는 자기 육신의 정욕이 하나님께 영광이라며 이루어 달라고 기도하는 신앙은 젖 먹는 단계도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은 아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젖 먹는다는 것은 아주 어리고 미약해 보이긴 하지만 생명이 아닌 존재와는 그 존재 정체성의 격과 세계가 다른 것이다. 다 큰 개와 갓 태어난 아기의 존귀함의 차이 그 이상이다. 개는 생명이라는 범주에서는 그나마 살아는 있지만, 세상의 성공을 하나님의 영광이라 믿는 사람들의 신앙은 하나님이 보실 때 죽은 것이기에 땔감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니 하나님께서 늘 불에 탈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인지도 모른다.


[평교인의 성경 보기/히브리서] - (히브리서 5:11-6:8) 타락을 염려하기 전에



히브리서가 말씀하는 대상은 그런 사람들에 관한 말씀이 아니다. 약속이 남아 있는 사람들, 행여 안식에 들지 못할까 염려해야 하는 사람들을 향한 말씀이다. 하나님의 약속이 무엇인지를 아는 사람들, 행위로 의롭게 되어 그 의로워진 행위로 하나님의 은혜를 사려는 장사하는 신앙이 죽은 신앙이라는 것을 알고 사람은 그 안에서 살 수 없음을 알고 그 자리를 떠나 큰 물을 건너 간 사람들(히브리인이라는 말 뜻이 큰 물을 건넌 자)에게 하시는 말씀이다. 


즉 존재의 신이신 하나님을 믿고, 하나님을 믿는다는 것은 어떤 행위를 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어떤 존재가 될 것인지에 관한 것인지를 아는 사람들에 대한 말씀이 이 히브리서이다. 그렇기에 자신이 이 히브리서를 대할 때 약속과 안식에 관하여 어둡고 모호하며 아직도 수고하는 신앙이라면 자신이 아직 이 말씀에 이르지 못했음을 깨닫고 그 자리를 떠나는 것이 히브리서의 말씀이 자신의 말씀이 되는 관문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그리스도로 거듭난 생명을 얻고, 하나님과 성경과 사람과 세상의 모든 일이 성령의 안목으로, 그리스도의 본성으로 보게 되었을 때, 곧 자신이 거듭난 존재라는 것을 자기 삶을 볼 때 부인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그때 이 말씀을 펴고 히브리서가 권면하는 장성함을 묵상함으로 완전한 자리에 이르게 되기를 소망하는 자리에서 이 말씀을 묵상하면 그 의미가 아주 분명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신앙의 단계는 가시적이지는 않지만 이를 잘 보여주는 성경이 있는데 욥기다. 욥은 분명히 하나님께서 의로운 사람이라고 했지만 엘리후라는 사람에게 하나님의 이름으로 책망도 받고, 하나님께도 질문의 형식이지만 많은 책망을 받았다. 그리고 마지막에 자신이 그때까지 알지 못했던 것을 말했다고 고백한다. 그 욥의 여정이 이 히브리서에도 설명이 된다. 타락을 염려할 대상도 아닌 사람들, 성경을 육신의 행위로 지켜서 육신에게 불행이 닥치지 않고 세상에서 성공하기를 바라는 신앙을 가진 욥의 세 친구와 같은 신앙의 단계가 있고, 하나님은 행위로 성경을 지켜 의로워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지만 그 자리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르기에 오히려 죽기를 구하는 욥과 같은 여정이 있고, 그런 과정을 지나 다시는 반복하지 않고 하나님이 허락하시는 완전한 자리, 타락할 수조차 없는 자리에 이르는 진정 장성한 분량의 자리에 이르는 것이다. 욥기가 더 이상의 갈등 없이 온전한 평안과 안식으로 마무리되는 것처럼.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

히브리서 6장에는 한 번 은사를 맛보고, 성령에 참예한 사람의 타락은 다시 회개할 수 없다는 말씀을 하고 있다. 이는 마태복음 12장에 나오는 “성령을 훼방한 죄”를 연상케 한다. 성령을 훼방하는 것은 사함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안식일에 손 마른 자를 고치시고 이어서 귀신 들린 사람, 벙어리 된 사람들을 고친 것에 대하여 바리세인들이 귀신의 왕 바알세불의 힘을 빌린 것이라는 도전에 답하신 말씀인데 사람들은 특별히 “사함을 받을 수 없다”는 것에서 이 말씀을 기억한다.


그러나 굳이 경중을 따지자면 히브리서의 말씀이 더 심각한 것이다. 성령을 훼방한다는 것은 사람이 하나님 앞에 구원을 받을 수 있느냐의 문제이다. 구원을 받는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생명으로 여기시는 생명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그런데 그 생명을 잉태케 하는 성령을 훼방하면 당연히 생명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한 가지 알 것은 성령이 사람이 훼방한다고 그 하실 일을 하지 못하는 나약한 존재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이 성령을 훼방한다는 것은 성령의 역사하심을 순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성경은 사람에게 강제적이지 않다. 하나님께서 사람들에게 심판을 말씀하시는 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모든 것을 베풀고 보이시고 사람의 선택을 기대하셨는데 사람이 자기 육신의 정욕을 좇아 하나님의 말씀을 선택하지 않고 순종하지 않은 자기 책임을 물으시는 것이다. 따라서 성령도 사람이 하나님의 의에 순종하지도 않는데 강제로 역사하시는 분은 아니다. 모든 것은 사람의 순종을 선택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성령을 선택하지 않는다? 그럼 사함을 받을 방법이 없는 것이다. 성령께서는 기본적으로 사람에게 생명을 주시는 분인데 그것을 선택하지 않는 것이 성령을 훼방한 것이다. 그러니 그런 사람이 구원을, 사함을 받을 법은 없는 것이다.


성령을 훼방한 죄가 사함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은 다시 구원을 얻을 수 없다는 말씀이 아니라, 성령을 훼방한 상태에서는 사하심이 없다는 말씀이다. 이는 사람이 성령의 참예하기 전 상태에서 성령이 역사하셔서 생명으로 거듭나는 단계에 관한 말씀이라는 것이다. 반면에 성령에 참예하고서 타락한 사람은 다시 회개할 수 없다는 것은 성령으로 거듭난 사람들이 대상이다. 다시 말해서 성령으로 거듭나야 다시 회개할 수 없는 사람이 되든가 말든가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앞서 타락을 염려하기 전에 먼저 구원부터 받으라고 설명을 했다.


여기서 우리는 성령을 훼방하는 자가 사함을 받을 수 없다는 것과 성령에 참예하고서 타락하면 회개할 수 없다는 것에서 구원의 유일성도 함께 알 수 있다. 구원도, 성령으로 거듭남도, 회개도 단 한 번만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람의 인생이 한 번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 하나님께서 주신 하나 밖에 없는 인생을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실 때 세우신 뜻대로 살기 원하는 하나님의 말씀과 뜻에 순종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은 유일하고 한 번 밖에 할 수 없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즉 예수를 믿는다는 것은 인생의 절대적 명제이고 인생을 걸어야 하는 문제지, 이랬다 저랬다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이제 히브리서에 집중해 보면, 히브리서는 회개할 수 없는 타락을 멜기세덱에 대한 이해의 분량에 대한 언급에 이어서 말씀하고 있다. 멜기세댁에 대한 온전한 이해는 장성한 분량에 관한 것이고, 이 장성함은 세례와 안수와 죽은 자의 부활과 영원한 심판에 대한 교훈을 복습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면 그 장성한 자리에 갈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다시 회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즉 세례와 안수와 죽은 자의 부활과 심판에 대하여 온전하게, 또 장성한 자리에 이르지 못한다면 돌이킬 수 없는 자리에 이르게 될 것이라는 것을 말씀하고 있다.

 (계속)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