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 상) 26. 다윗을 사랑한 요나단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무엘상 Date : 2025. 9. 18. 10:22 Writer : 김홍덕

다윗과 요나단은 우정의 표상이다. 이들의 우정은 실로 대단했다. 요나단은 다윗을 죽이려는 아버지 사울에게 목숨을 걸고 맞섰고, 자기 것이 거의 확실한 왕관마저 흔쾌히 다윗에게 양보했다. 다윗은 요나단과의 약속대로 평생 자기 상에 요나단의 아들 므비보셋이 앉게 했다. 그렇다면 이렇게 대단한 이들의 우정은 어떻게 형성되었을까?

 

사울은 자기 생각에 좋은 것으로 하나님을 섬기려는 불순종의 아이콘이다. 그리고 요나단은 그의 아들이다. 아들은 아버지의 의가 육신이 된 존재라는 관점에서 보면 요나단은 자기 생각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의가 육신이 된 아들이다. 그러니까 요나단은 내 인생을 주관하는 왕위의 계승자다. 그런데 요나단이 이 미래에 균열을 일으킨 것이다. 바로 하나님이 정한 왕을 사랑한 것이다. ? 세상 가치의 상징인 골리앗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이긴 것을 봤기 때문이다.

 

세상의 위대함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이긴 다윗을 사랑한 요나단

 

요나단은 우리 육신, 우리 옛사람 안에 있는 양심이다. 혈통으로는 불순종의 아들인데 하나님이 세운 왕을 사랑하고 그에게 자기 왕위를 양보하는 양심이다. 하나님께 불순종하는 우리 육신 안에 하나님이 세운 왕을 영접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바로 요나단이다. 우리는 모두 요나단처럼 하나님이 정한 왕이 내 인생의 주인이 되도록 물러서야 한다. 그게 하나님을 믿는 모습인데, 요나단은 이걸 우리에게 보여준다.

 

요나단은 골리앗을 이긴 다윗의 말을 듣고 다윗을 사랑했다. 세상의 가치 기준으로 세상을 이기려는 시험과 고난을 하나님의 정체성으로 이긴 일을 듣고 하나님이 세운 왕을 사랑한 것이다. 이는 우리 안에 하나님께서 정한대로 살려는 남아 있는 양심이다. 이 양심이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 앞에서 죄를 시인하게 하고, 하나님이 세우신 왕을 사랑하게 한다. 이 양심이 작동하지 않으면 우리는 구원을 받을 수 없다. 양심에 화인 맞았다는 말씀이 여기서 비롯된다.

 

이렇듯 우리 안에는 하나님께 순종해야 한다는 걸 아는 양심이 있다. 이는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했기 때문이다. 사람이 어려운 일을 만나면 신을 찾는 건 본능적으로 자기를 주관하는 존재가 있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게는 그것보다는 눈에 보이는 걸 본질로 알고 골리앗과 같은 거대함과 위대함을 추구하고, 그걸 얻지 못한 자신을 초라하게 본다. 그런데 요나단은 다윗의 가치를 바로 본 것이다. 세상의 위대함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이기는 걸 사랑한 것이다.

 

아닌 듯 해도 사람 안에 있는 하나님에 대한 기억이자 양심은 늘 하나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성경은 나를 따라 오라라는 말 한 마디에 그물을 버려두고 예수님을 따라간 제자들의 일처럼 마치 요나단이 한 순간에 다윗을 사랑한 것처럼 기록되어 있지만 제자들이나 요나단은 모두 긴 시간 예수님과 다윗에 대해 관해 기생 라합이 창을 열고 이스라엘 소식을 모니터링하듯이 귀를 열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나를 따라오라는 말과 골리앗을 이긴 일이 잔을 넘치게 하는 한 방울의 물이 된 것이다. 즉 스모킹 건이 되었다는 뜻이다.

 

우리 육신은 거저 하나님을 반대하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우리는 우리 안에 있는 옛사람을 마냥 하나님 앞에 버려야 할 존재처럼 보기도 하지만, 우리 옛사람은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로켓과 같다. 우리에게 육신이 없고, 육신에 깃든 가치관이나 의나 경험이 없으면 예수님을 만날 수 없다. 육신의 이런 것들이 하나님을 아는 일에 필요 없다면 예수님이 우리와 같은 육신으로 오시고, 또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 육신이 될 이유가 없으며, 우리 육신을 하나님이 거하시는 성전이라고 할 이유도 없다.

 

우리는 육신으로 살면서 얻은 경험과 가지게 된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깊이 관찰하고 있다.

 

요나단은 이스라엘로 대변되는 내 인생이라는 왕국을 하나님이 세운 왕에게 넘겨주는 연결고리다. 자기 것이 될 수도 있는 나라를 하나님께 드리는 양심이다. 얼마든지 우리는 우리 인생을 자기 것으로 삼고 살아갈 수 있음에도 하나님께 드리도록 결정하고 순종하는 육신의 경험과 가치들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육신으로 살면서 보고 듣고 느끼는 것들 것들은 내가 순종하기에 따라서는 하나님께 순종하고, 하나님을 왕으로 모시는 결정을 할 수 있는 주체다. 요나단은 그런 주권을 보여준다.

 

하나님이 지으신 모든 것이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나니 (딤전 4:4)

 

사람 안에는 세상의 가치가 아니라 하나님의 정체성, “너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고 물으시며 우리와의 관계를 회복하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이름이 골리앗과 같은 세상을 이기는 것을 동경하고 믿는 마음이 있다. 이 마음이 자기 목숨을 위협하면서까지 불순종의 아들로 살기를 강요하는 사울에 맞서 다윗을 사랑한 요나단처럼 육신의 정욕을 이기게 한다.

 

우리가 하나님을 왕으로 섬기려 할 때 우리 안에 있는 사울과 같은 옛사람은 아들 요나단을 위협한 사울처럼 우리를 위협하지만, 우리는 그런 위협에도 다윗을 사랑한 요나단 같은 마음으로 인해 하나님이 세운 그리스도를 왕으로 섬기는 인생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 안에 있는 하나님을 향한 양심이고, 예수님께 바통을 넘기는 세례 요한과 같은 요나단처럼.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