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은 사무엘에게, 왕을 원하는 이스라엘은 당시 왕과 같은 지위에 있던 사무엘을 무시한 게 아니라 하나님을 믿지 않는 것이라 말씀하셨다. 생각해 보면 굳이 왕이라 부르지 않아도 사무엘이나 모세나 삼손 같은 사람들은 사실상 왕보다 더한 권세를 가지고 있었다. 사사시대에 사사가 전쟁을 위해 모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모여서 목숨을 걸고 싸웠다. 그보다 더한 충성은 없다. 자기 목숨을 내어놓으라는 부름에 응한다는 건 부르는 자가 왕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왕이신 하나님은 ''이라는 지위에 연연하지도 않고 거부감도 딱히 없다. 열방의 왕이라는 게 문제다. 어떤 가치의 정점에 있는 왕이냐가 문제다. 게다가 사람은 자기가 왕을 선택할 권한이 있는 것도 아니다. 만약 사람이 자연발생적 존재라면 자기가 섬길 왕을 정한다는 게 말이 될 뿐 아니라 어떤 왕을 섬기든 다른 존재가 상관할 일도 아니다. 그러나 사람은 하나님께서 목적이 있어 창조한 하나님의 피조물이다. 하나님 외에 그 어떤 존재도 사람에게 왕이 될 수 없다. 그런데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아니라 열방과 같은 왕을 원하고 있다.

 

하나님의 피조물인 사람은 하나님 외에 다른 존재가 왕이 될 수 없어…

 

열방 곧 이방의 왕은 세상 가치의 정점에 있다. 세상이 추구하는 모든 귀한 것이 모인 지위이고, 세상이 귀하게 여기는 모든 걸 가질 수 있는 존재다. 그런 존재에 충성한다는 건 세상의 가치를 추구하겠다는 것이다.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걸 진정한 가치로 삼아야 하는 사람이란 피조물이 세상의 가치를 추구하겠다는 건 자리를 벗어난 것이다. 이걸 성경은 ""라고 한다. 그리고 죄라는 말의 어원은 '자리를 벗어났다'라는 의미의 '하말티어'.

 

, 열방의 왕은 우리에게 모든 걸 요구한다. 하나님께서는 백성들에게 "너희 아들들은 전쟁에 끌려가게 될 것이며, 너희 딸들은 왕을 위해 노동하게 될 것이며, 너희 소산 중 귀한 것들은 왕이 가져갈 것"이라 경고하셨다. 그럼에도 백성들은 괜찮다고 했다. 그걸 감수하겠다는 것이다. 세상에서 귀한 걸 얻을 수만 있다면 그런 것쯤은 얼마든지 희생할 수 있고, 세상 귀한 걸 위해선 자기를 얼마든지 버릴 수 있다는 고백이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것도, 또 세상 귀한 걸 위해 희생하겠다는 자아도 모두 하나님의 것이다.

 

가로되 내가 모태에서 적신이 나왔사온즉 또한 적신이 그리로 돌아가올찌라 주신 이도 여호와시요 취하신 이도 여호와시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찌니이다 하고 (욥 1:21)

 

사람은 정말로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 경고하신 대로 살고 있다. 세상의 가치, 세상이 귀하다고 생각하는 걸 위해서 자기 인생을 희생하는 걸 당연하게 여길 뿐 아니라 오히려 그걸 고귀하게 생각한다. 정말로 사람들은 세상의 귀한 걸 얻을 수 있다면 자기 모든 걸 버리고 투자한다. 열방의 왕께 진심으로 충성하고 있다. 하지만 그게 고귀한 일이라면 사람을 창조하신 하나님께서 후일에 상을 주시겠지만, 성경은 그런 말씀을 하시지 않는다.

 

우리에겐 왕이 있다. 그보다 더한 창조주 하나님이다. 그는 우리를 다스리신다. 그렇지만 하나님은 우리의 소산을 가져가는 분이 아니다. 그리고 압제하는 통치를 하시지도 않는다. 전지전능한 하나님 앞에 사람이 자기 자리를 떠나고, 죄를 범할 수 있는 자유도가 있다는 것에서 이미 하나님의 통치 이념을 알 수 있다. 이건 힘이 없어서가 아니다. 그 어떤 상황도 조치 가능한 능력자기 때문이다. 완전히 통제하고 주관하는 영역을 압제하는 주관자는 없다. 이미 어떤 세계를 주관할 정도의 지혜를 가지고 있다면 그런 소비적이고 멍청한 짓을 하지 않는다.

 

온전히 주관하고 통치할 수 있는 왕은 절대로 압제하지 않아…

 

이런 하나님의 피조물인 사람은 하나님이 주신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의지와 권한을 자기 걸로 안다. 그래서 심지어 이 절대자를 두려워하지 않고 죄를 범하기도 한다. 그렇다는 건 사람은 하기에 따라서는 하나님께 완전히 순종할 수도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즉 사람이 하나님께 온전히, 전적으로 순종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럼 그런 사람에겐 하나님은 온전한 왕이요, 사랑의 하나님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은 이걸 버린다.

 

우리의 왕은 우리의 연약함을 아신다. 창조하셨으니까. 더욱이 하나님께 순종하면 온전히 하나님이 삶을 주관할 수 있도록 창조되어 있다. 단 하나 사람이 믿지 않고 순종하지 않을 뿐이다. 하나님의 계획대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창조하신 목적에 순종하고, 그 계획과 의도와 목적인 말씀이 육신이 되면, 그렇게 사람 안에 하나님의 의가 생명의 본성이 되게 거듭나면 그냥 그 본성대로 사는 것이다.

 

이것보다 온전한 통치와 육신이 된 말씀보다 강한 왕은 없다. 우리의 왕 예수 그리스도는 그 모습을 보여주셨다. 말씀이 육신이 된,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한 목적대로 사는 삶을 보이셨다. 그게 십자가다. 절대자의 뜻을 버리고 자기 맘대로 살 수 있는 자유와 권한으로 오히려 하나님께 순종하면, 존재에게 가장 귀한 것, 존재하는 목적대로 사는 은혜를 베푸신다. 그렇게 살 수밖에 없는, 내가 알아서 법대로 사는 통치 안에 살게 하신다. 이게 우리 하나님, 우리 여호와,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시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