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 상) 09. 돌아오는 언약궤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사무엘상 Date : 2025. 8. 2. 10:15 Writer : 김홍덕

(삼상 5, 6)

이스라엘 백성에게 언약궤가 효력이 없었다고 언약궤의 권위가 떨어진 건 아니다. 하나님 언약의 표상인 언약궤는 하나님의 약속을 믿는 사람에게 의미가 있지, 하나님 없이 전쟁하면서 능력만 기대하는 사람이나 하나님을 믿지 않는 이방인에게 능력이 나타나는 게 아니다. 그래서 언약궤를 빼앗아 간 블레셋에는 재앙이 일어난다.

 

블레셋은 이스라엘로부터 빼앗은 언약궤를 자기들의 신인 다곤 신을 섬기는 신전 안에 두었다. 그런데 다음날 다곤 신상이 언약궤에 절하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 놀란 블레셋 사람들이 다시 신상을 세워 두었으나 다음날은 아예 머리와 팔다리가 끊어진 상태로 언약궤 앞에 엎드려져 있었다.

 

하지만 그건 재앙도 아니었다. 언약궤를 둔 '아스돗'이라는 지방에 독종이 창궐했고, 이어 언약궤를 가드로, 에그론으로 옮겼는데, 언약궤가 거하는 지방마다 독종으로 사람들이 큰 고통을 받았다. 그리고 언약궤를 돌려보낼 때 속죄 제물로 금으로 만든 쥐를 만들어 언약궤와 함께 보낸 것으로 보아 쥐가 나타나 농작물을 해치는 재앙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상 6:5)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이스라엘이 언약궤의 힘을 빌려 전쟁에 이기려고 했을 때는 아무 효험이 없었는데 이방 신전에 두었더니 이방 신상이 절하는 신비로운 일이 일어나고, 블레셋에는 재앙이 임했다. 그런 능력이 전쟁 때 나타났으면 더 나았을 텐데 이제야 나타나니 이스라엘은 야속할 수 있다. 그러나 블레셋에 일어난 재앙이나 이스라엘을 돕지 않은 것 같은 야속함이나 같은 사건이다. 언약궤는 합당한 사람과 함께할 때는 은혜지만, 합당하지 않은 사람에겐 재앙이다.

 

하나님의 언약은 합당한 사람에겐 은혜지만, 합당하지 않은 사람에겐 재앙이다.

 

하나님 없이 전쟁하는 이스라엘이나 이방인은 모두 하나님의 언약에 합당하지 않은 건 마찬가지다. 언약에 합당하지 않은, 그러니까 하나님의 말씀을 약속으로 믿고 순종하지 않는 사람에게 하나님의 언약과 그 언약을 상징하는 언약궤나 말씀 그리고 기적은 언제는 재앙이다. 그리고 심판이다.

 

재앙이 임한 블레셋은 언약궤를 감당할 수 없어 돌려보내기로 한다. 먼저 언약궤를 함부로 가져온 걸 죄로 인식하고 이를 속죄하기 위해 금으로 독종과 쥐 모양으로 만든 속죄 제물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암소에게 언약궤를 실은 수레를 끌게 했다. 그리고 사람이 끌지 않는 수레가 어디로 가는지를 보기로 했다. 젖 먹이는 암소가 새끼가 아니라 이스라엘 진영으로 간다면 그간의 재앙이 하나님이 내리신 것이라 믿기도 했는데, 정말로 젖 먹이는 암소들은 언약궤를 가지고 벧세메스라는 유대 땅으로 가버렸다. 하나님께서 인도하신 것이다.

 

언약궤는 언약이 함께하는 사무엘이 있어 돌아왔다.

 

이렇게 언약궤는 있어야 할 곳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이제는 하나님의 언약이 함께하는 사람 사무엘의 시대가 열린다. 언약을 믿고, 하나님의 언약이 있는 사람이 있는 곳으로 언약의 상징인 언약궤가 돌아온 것이다. 사무엘이 있어 돌아왔고, 하나님의 언약궤가 하나님의 언약이 나타날 곳으로 되돌아온 것이다. 내용이 있는 곳으로 형식이 돌아왔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누구보다 언약궤를 성스럽게 생각했고, 그래서 전쟁에서 언약궤의 능력을 기대했지만, 뜻대로 되지 않고 오히려 이방인에게 빼앗기는 치욕을 당했다. 그러나 하나님의 언약이 함께하는 사람 사무엘의 시대가 예비되자 스스로 돌아오는 능력을 보였다. 하나님의 모든 언약과 능력은 그에 합당한 사람이 함께할 때만 이루어지고 나타난다. 그래서 하나님은 언제나 우리에게 "네가 어디에 있느냐?(너는 존재 목적과 정체성을 지키고 있느냐?)"라고 물으신다. 존재의 신 여호와시기 때문이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