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너무 유명해서 설명이 필요 없는 말씀이다. 바울 사도는 데살로니가 성도들에게, 또 오늘 우리에게 이 말씀으로 권면하면서 이는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뜻이라고 말씀했다.

 

사람들은 일상에서 하나님의 뜻을 묻는다. 운전 중 갈림길에서 어느 길로 가는 게 하나님의 뜻이냐를 묻듯이 일상의 일들을 묻지만, 사실 사람을 향한 하나님의 뜻은 단 하나다. 사람이 하나님의 성품을 표현하는 것. 그게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영광이란 나타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에 사람이 하나님을 드러내는 게 바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이런 관점 안에서 기뻐하는 일과 기도하는 일과 감사하는 일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드러내는 것이라는 게 바울 사도가 이 말씀으로 우리를 권면하는 이유다. 다시 정리하면 우리가 기뻐하는 모습이 세상과 사람에게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를 드러내고, 하나님을 드러내는 일을 위해 기도하고,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표현하고 드러났을 때 감사하는 삶이 하나님의 뜻이고,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사람의 본분이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다는 말도 그저 일상으로 사용하지만, 우리의 구원과 하나님이 바라시는 사람의 모습을 대변하는 표현이다. <그리스도 예수 안>은 우리 손에 있는 하나의 사과가 the Apple에 속한다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사용된 말씀이다. 예수님께서 보이신 하나님의 뜻과 같은 생명(본성)을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다.

 

'예수 안'은 예수와 같은 생명을 본성을 가진 사람이 되었다는 것

 

예수님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뜻을 몸소 보이시려 낮고 낮은 땅으로 오셨다. 그 예수님과 같은 생명과 본성을 가진 사람이 예수 안에 있는 사람이다. 그렇다면 예수 안에 있는 사람은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사람이고, 낮은 마음으로 섬기고 사랑하는 마음을 표현하여 하나님을 드러내는 사람이다. 그리고 그렇게 표현된 마음은 기쁨과 기도와 감사로 나타난다. 이게 하나님의 뜻이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의 삶이다.

 

항상, 쉬지 말고, 범사와 같은 항상성은 Case by case 별로 마주하는 상황과 시간과 이벤트에 누락 없이 기뻐하고, 기도하고, 감사하라는 의도가 아니다. 무엇보다 사람은 그럴 수 없다. 성경도 그런 식의 신앙은 인정하지 않는다. 잘하다가 하나를 그르치면 아니함만 못하다는 게 하나님의 생각이다. 그러니까 이건 깨어서 노력하는 일로 되는 게 아니다. 바울 사도 역시 그렇게 노력하는 성도가 되기를 바란 게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 속한 사람은 항상 기뻐하고, 쉬지 않고 기도하며, 범사에 감사하는 <존재>다.

 

항상 기뻐하고, 쉬지 않고 기도하며, 범사에 감사하는 사람이 되는 법은 단 하나다. 앞에서 설명한 예수 그리스도 안에 속하는 것. 그러니까 예수님과 같은 생명, 같은 본성을 가진 사람이 되는 것뿐이다. 그리스도로 거듭나면, 그리스도라는 생명이 된 것이고, 그렇다면 언제나 그리스도라는 생명으로 살 수밖에 없다. 이것보다 온전한 방법은 세상에 없다. 무엇보다 이것이 하나님의 뜻이다. 예수 안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신앙인 대부분이 항상 기뻐하지 못하고, 쉬지 않고 기도하지 않으며, 모든 일에 감사하지 않는 자신을 부족하다고 반성하긴 해도 이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 바울 사도의 말씀대로 이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하나님의 뜻인데도. 이 말씀대로 살지 않는다면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도, 하나님의 뜻대로 사는 게 아닌데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건 큰 문제로 깊이 반성해야 한다.

 

예수 안에는 구원받은 사람들이 들어갈 수 있고, 구원은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하나님의 성품대로 사는 사람을 거듭나서 생명이 바뀌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항상 기뻐하고, 쉬지 않고 기도하며, 범사에 감사한다. 이건 순간과 상황이 아니라 존재의 문제다. 이걸 모르면 이 세계에 들어갈 수 없다.

 

,


👉 궁금하고 나누고 싶은 이야기 있으시면 성경은 내 이야기다 오픈 채팅방에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