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8)

스데반의 순교는 복음 전파의 전환을 가져온다. 유대 공동체 안에 머물던 복음이 이방인에게 전해지기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 우선은 스데반의 순교로 인해 많은 성도가 흩어지면서 복음이 오히려 사방에 전파되는 일이 있었다. 그리고 빌립 집사 또 고넬료를 찾아간 베드로와 같이 집사와 사도들도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이방인을 위한 사도 바울이 나타난다.

 

이런 변화는 우리 각 사람의 개인적인 신앙 여정의 변화로도 이해할 수 있다. 유대 공동체라는 하나의 개체 안에 머물던 복음이 유대 밖 이방인에게 전해지는 모양새는 한 개인 안에 머물던 복음이 다른 사람에게 전해지는 것과 같다. 한 사람 안에서 갈등하며 성장한 복음이 사람의 삶을 변화시키고, 그 변화된 삶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예수 그리스도를 믿도록 하는 마음이 생기게 만든다. 이게 바로 씨를 뿌리는 것이고, 진정한 의미의 전도다.

 

빌립 집사가 사마리아로 가서 복음을 전했다. 사마리아는 유대인들에게는 더 없는 천민이자 혈통이었다. 수가성 여인에게 예수님께서 물을 달라고 했을 때 그 여인이 사마리아인인 자기에게 어째서 말을 붙이느냐고 생각할 정도로 사마리아는 유대인들에게 멸시받던 사람들이었다. 이는 예전 앗수르에 의해 시행된 혼혈 정책 때문인데, 북이스라엘을 점령했던 앗수르가 혼혈 정책을 펼쳤고, 그렇게 태어난 사람들이 사마리아인들이었다.

 

그런데 빌립 집사는 사마리아에 복음을 전했다. 복음이란 게 원래 낮고 천한 곳에 먼저 전해진다. 복음의 법은 사람이 낮아지는 것인데, 이미 낮아진 사람은 그 측면에서 유리한 셈이다. 때로 우리는 인생이 난관을 겪으면서 진정한 복음을 만나기도 한다. 복음은 자기 힘이 넘치는 사람이 수용할 수 있는 은혜가 아니다. 사마리아 사람들이 복음을 믿는 건 상대적으로 쉬운 일이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복음은 이런 단순한 정황 논리로만 설명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사마리아 성의 백성들은 먼저 빌립 집사의 말을 들었다. 오늘 우리에게 빌립 집사는 대단한 사람이지만, 당시에는 유명인이 아니다. 집사라는 것도 교회의 직분일 뿐 당시의 서기관이나 바리새인들처럼 분명한 직분도 아니었다. 그런 빌립의 말을 들었다는 게 구원받는 관문이었다. 오늘날도 그렇다. 목사 전도사가 아닌 사람의 말을 듣고 구원을 얻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가 누군 줄 알고?

 

그런데 사마리아 백성들은 빌립 집사의 말을 들었다. 그랬더니 표적을 보았다. 무엇보다 빌립 집사의 말하는 것을 귀담아들었다. 좇았다는 건 자기 삶이 되기를 바라며 들었다는 의미다. 그랬더니 더러운 귀신이 크게 소리 지르며 떠나갔고, 중풍 병자와 앉은뱅이가 나았다. 당연하게도 사마리아 성은 이 일로 기쁨이 있었다.

 

늘 설명하는 것인데 다시 설명한다면, 귀신 들렸다는 건 자기 머리를 빼앗겼다는 것으로, 삶을 주관해야 하는 의식 아닌 게 삶을 지배하는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믿음의 본질 없이 행동으로 믿는 믿음이다. 행위로 의로워지려는 신앙이고, 귀신처럼 정체가 불분명한 것을 믿는 신앙이다. 중풍 병자는 반대로 생각은 바른데 몸이 생각을 따라오지 않는 상태다. 앉은뱅이와 함께 행함이 없는 믿음을 의미한다. 귀신 들린 자, 중풍 병자, 앉은뱅이는 모두 온전치 못한 신앙을 의미하고, 이것이 나았다는 건 온전한 신앙으로 회복되었다는 뜻이다.

 

이런 신앙의 회복은 말씀을 듣는 것에서, 듣고 자신도 그렇게 되려는 소망에서 비롯된다. 빌립이란 사람이 보기에 하찮게 보였을지라도 그가 전하는 말씀이 온전하므로 들었더니 자신들의 영혼도 온전하게 되고 기쁨을 얻었다는 것이다. 이게 복음이다. 온전한 말씀을 듣고 그렇게 되기를 소망하면 자신의 신앙이 온전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