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 6장에서는 회개할 수 없는 타락을 말씀하였다. 그리고 10장에서는 속죄하는 제사가 없는 죄에 대한 말씀이 있다. 이렇게 예수님의 구원을 무력화하는 죄가 있다는 사실은 사람들에게 걱정거리가 된다. 그러나 6장을 설명할 때 언급한 것처럼 구원이 무력화되는 죄를 범하려면 먼저 구원을 받아야 한다. 왜 이런 말을 하는가 하면 사람들은 자신이 구원을 받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런 말씀을 걱정하지만 구원은 사람들의 생각과 다르다. 먼저 쓴 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원받았다고 하면서 스스로 죄 없다고 말하지 못한다? 그럼 구원받은 것이 아니다. 이것은 괜히 겁주는 말이 아니라 성경이 그렇게 말씀하고 있다. 아니 이치가 그렇다. 죄가 없지 않은데 구원이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말씀을 보면서 “혹시 나도?”라고 걱정이 된다면 이미 죄책감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구원이 없는 상태이므로 이 말씀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구원받지 못한 자신을 걱정하는 것이 먼저다.


지금 속죄하는 제사가 없는 죄는 진리의 지식을 받은 후에 범한 죄라고 말씀한다. 범죄의 유형이나 종류가 무엇이든 예수님의 제사가 단번에 드리는 제사이므로 다시 드려지지 않는다. 제사의 횟수는 정죄하는 기준이 행위에 있을 때 의미가 있다. 행위는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이므로 행위를 보고 심판하고 정죄하는 세계에서는 행위의 수에 버금가는 제사가 필요하지만 모든 존재에게 자신의 존재 정체성은 처음 창조될 때 한 번 정해지는 것이므로 이것은 횟수가 의미가 없다. 한 번뿐이다. 예수님의 제사는 행위에 관한 것이 아니라 존재 정체성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한 번의 제사다. 행위는 존재에 종속된 것이므로 존재가 정결케 되면 모든 행위는 정결해진다. 사람들이 이것을 믿지 않으므로 기도할 때 마다 회개한다.


그러므로 진리는 ‘어떤 행동이 진리이냐?’의 문제가 아니다. 진리가 우리를 자유케 한다는 말씀을 바로 안다면 진리는 존재의 정체성임을 알 수 있다. 모든 존재에게 자유를 주는 것은 자기 존재의 정체성에 맞는 삶이 주어지는 것이다. 칼이 못 박는 것에 사용되고 있다면 자유롭지 않지만 부엌에서 요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면 자유한 것이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자유가 아님은 당연하다.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상태는 버려진 것이다. 존재가 목적이 없어진 것은 쓰레기다.


진리를 안다는 것은 자신의 존재 목적을 아는 것이다. 예수님의 십자가 그 어디에도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해야 하나님 앞에 진리의 존재가 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부분이 없다. 예수님의 제사, 단 한 번에 드려진 제사는 행위 기반의 제사가 아니라 존재 규범이기 때문이다. 예수님이 드린 단번의 제사로 얻는 구원이 행위로 지은 죄에 관한 것이 아니라 존재 정체성의 회복임은 말할 것도 없다. 그것이 진리라는 것이 이를 확증한다.


진리를 알고 죄를 범한다는 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알고 그것을 부인하는 것을 말씀하신다. 여기부터는 자신의 존재 정체성을 십자가에서 발견한 사람만을 위한 말씀일 수 있다. 진리를 알지 못하는데 진리를 알고 죄를 범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냥 자신이 교회에 다니고 교회가 가르쳐준 대로, 혹은 교리문답대로 자신이 구원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이 말씀을 가지고 자신이 해당될까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염려해야 할 것은 자신이 정말로 구원을 받고 지금 죄가 없다고 말할 수 있느냐의 문제다.


그렇지만 이 말씀은 중한 말씀이다. 일단 예수님의 제사가 단 번에 드린 제사이므로 다시 드려지지 않기에 제사가 더 이상 없다. 또 하나는 예수님의 제사로 인하여 죄가 없어지므로 또한 구속의 제사를 드릴 이유가 없다. 이것이 진리를 아는 사람의 상태다. 그 상태 그대로는 더 이상의 죄도 없고, 따라서 제사도 없다. 그러나 여기서 그 진리를 부정하는 죄를 범하면 다시 드릴 제사가 없다는 말씀이다. 이미 다 드려졌기 때문이다.


이것이 중한 것은 하나님 아들이 피 흘려 이룬 구원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니 예수님을 능욕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여기서 예수님이 누구에게 능욕을 당하는 분이라는 것이 아니라 능욕당하지 않는 분을 설레발 치듯 혼자 쇼를 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것이 예수님과 상관없는 존재가 되는 것에 있다. 예수님이 모든 인생의 존재 정체성을 가진 유일한 분인데 그 분과 상관없는 자가 된다는 것은 자기 존재를 부인하는 것일 뿐 아니라 유일한 대안을 외면하였으니 더 이상 답이 없는 것이다.


아마도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진리를 아는데 어떻게 그것을 버리는 죄를 범하는지 일 것이다. 사람들은 종종 이것을 하나님의 무능함이 아닌가 생각하기도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사람이 하나님을 선택하고 믿는 것을 강제하지 않으신다. 프로그래밍 해 놓은 로봇처럼 사람은 천편일률적으로 하나님만 믿고 찬양하게 하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믿는 마음을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해 놓으셨다. 사라마에게 이 선택의 권한을 주지 않았다면 순종이라는 것이 성립할 수 없다.


따라서 사람은 얼마든지 스스로 하나님께 순종하든지 아니면 불순종하는 선택을 할 수 있다. 당연히 책임이 뒤따른다. 그러므로 진리를 알고서도 얼마든지 스스로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진리를 아는 사람은 그것을 귀하게 여긴다. 귀하게 여길 뿐 아니라 그 귀함이 자신에게 너무 맞고 만족스럽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그것에서 잘 떠나지 않는다. 세상의 모든 행동과 결정은 그럴 만한 존재가 그럴 만한 행동을 한다. 콩 심으면 콩 나는 것이다. 진리를 아는 사람은 진리에 맞는 삶을 산다. 이것이 하나님의 법이다.


한 가지 눈 여겨 볼 것은 십자가의 존귀함을 대하는 기준이다. 십자가의 구속이 너무 귀한 것이기에 그것을 누리는 사람도 귀하다. 여기서 사람들은 간혹 오류를 범한다. 십자가가 귀한 것은 세상에서 낮아졌기 때문에 귀한 것인데, 십자가의 귀함을 가졌으니 세상의 가치 기준으로 귀한 존재가 된 것으로 여긴다. 진리의 존귀함을 세상의 가치 기준으로 매기기도 한다. 예수님의 존귀함을 알고 있으니 세상에서 대접을 받는 것이 합당하는 생각이나, 예수님이 함께 하시니 세상이 자기 중심으로 돌아갈 것이라 생각하는 것들이 그렇다. 


그러나 그것은 십자가를 모르는 것이다. 그것은 진리를 온전히 아는 것이 아니다. 십자가의 존귀함은 사람들에게 비방을 받을 수 있는 귀함이지 세상에서 대접받는 귀함이 아니다. 이것이 성경이 말씀하고 있는 다시 사함을 받을 수 없는 대표적인 경우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진리를 바로 알면 이럴 수 없다. 성령을 훼방한다는 것은 예수님이 보여주신 말씀을 성령이 생명으로 잉태케 하는 것을 훼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생명이 될 기회를 얻지 못하니 구원을 받을 수 없는 것처럼 진리를 알고 범죄한다는 것은 진리에 대하여 확신하고 자기 삶이 된 것이 아니라는 말씀이다. 결론적으로 이 말씀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일어나지 않는 일이다.


예를 들어 보자. 1차 대전 당시 부대에 있는 의무관이 병사의 정신상태를 감정하여 미쳤다고 생각되면 전역을 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러려면 병사가 와서 자신의 정신 감정을 의뢰해야 한다. 그런데 한 부대에 전투에 나가면 미치지 않고서는 도저히 보일 수 없는 미친 전투력을 보이는 병사가 있었다. 모두들 그를 미친 사람이라고 했다. 그래서 한 사람이 의무관에게 저 사람은 전역의 대상이 되느냐고 물었다. 의무관은 된다고 했다. 그러나 곧 이어 의무관은 그러나 그 사람은 전역할 수 없다고 했다. 질문한 병사가 이유를 물었다. 그것은 그 병사가 의무관에게 와서 자신이 미쳤는지 정신감정을 의뢰해야 전역 판정을 내릴 수 있는데 문제는 그 병사가 자신이 미친 것이 아닌가 하여 의무관에게 정신감정을 하러 오는 순간 그 사람은 정상이라는 것이다. 정상인 사람이어야 그 병사의 행동이 미친 것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병사가 자신의 행위가 미친 것이 아닌가 판단할 때 이미 그는 정상인 사람이 된 것이므로 전역할 수 없다는 것이다. 


진리를 아는 순간 온전한 존재가 된다는 것을 여기에 비추어 보면 알 수 있다. 예수님의 진리를 온전히 알면 죄를 범할 수 없다. 이것이 먼저 있는 대 원칙이고 하나님의 법이다. 이 말씀을 듣고 ‘혹시 나도?’라고 생각하는 것은 진리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하는 걱정이다. 그러니 그런 생각이 든다면 자신의 구원을 돌아봄이 먼저다. 미안하지만 진리를 알고 다시 죄를 범하는 것은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스스로의 정체성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셨기 때문에 하나님의 법에 자신이 순종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진리를 알고 난 다음에 그대로 살 것인지 아니면 그것을 버릴 것인지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진리는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다. 진리를 알았다는 것이 이미 온전한 선택, 하나님께 순종한 사람이라는 의미다. 그 본성을 가지고 다른 선택을 할 리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