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아닌 것 같고, 또 아닌 척 해 보아도 사람들은 돈이나 명예와 같은 형식들 안에 삶의 목적을 둔 양 그렇게들 열심히 살아간다. 늘 마음 한 구석에는 왜 사는가? 하는 의문을 외면한 상태로 말이다. 필자의 나이도 40대 후반인데, 다른 나라는 모르겠지만 나 또래의 한국 남자들은 매우 매우 삶이 심심하다.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라 할 수 있지만, 골프가 되었던, 술이 되었던, 어떤 운동이나 등산이 되었던 그런 것들은 다 심심한 것에 대한 대안이다. 물론 가장 평범한 대안은 퇴근하면 기다리는 스포츠 중계과 같은 것이기도 하다. 많은 사람들이 퇴근해서 집에 오면 목적이 사라진 멍한 상태가 되어 버리는 것이다.


1982년에 프로야구가 출범할 때 국민들 중에는 <우민 정책>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즉 퇴근한 사람들, 심심한 사람들이 정치판에 관심 끄고 살아라는 의미로 시작되었다고 하기도 했다. 그렇게 사람들은 퇴근하고 나면 할 일이 없어져 버리고 공허한 상태가 된다. 매일 창세기 1장의 처음 상태로 돌아가 버리는 것이다. 하나님의 빛을 만나지 못해서 ......



사람들이 형식을 위하여 살아가는 허전함을 달래기 위해, 1982년 프로 스포츠가 시작되었다.

< 사진 출처 : m.segye.com>


이렇듯 사람들은 육신이 먹고 사는 것과, 돈과 명예와 같은 형식을 삶의 본질로 알고 살아 간다. 그러다 그것이 없어지는 삶의 마디를 만나면 허무하고, 좌절하고 때론 자살을 한다. 하지만 알고 보면 퇴근하면 늘 그런 허무함이 있다는 것이다. 물론 회사에서 하는 일이 인간의 본질이 아니다. 이 모든 것은 다 형식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사람이 아무리 그것에 몰입해도 늘 자아 정체성의 갈증을 가져오는 궁창 아래의 물과 같은 것이다.


필자가 볼 때 사람들은 나이가 들면 이런 모든 형식에 관한 것들이 자아 정체성이나 삶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대안이 없는 것이다. 사실은 이 모든 사람의 공허에 대한 해답과 자아 정체성에 대한 갈증을 해갈할 궁창 위의 물인 <그리스도>가 우리에게 이미 있음에도 불고 하고 말이다.


사람들이 이렇게 궁창 아래의 물, 즉 삶의 형식에 몰입해서 살다가 어떤 이들은 <"여기는 내가 살 곳이 아니다!">, <"이런 삶의 형식을 위하여 사는 것이 인생의 목적이 아니고, 여기에 있다가는 죽겠구나?"> 하는 것을 아는 사람들과 순간을 만나게 된다. 이것이 뭍이 바다에서 드러나는 사건인 것이다.




그러므로 천지창조라는 그리스도의 성품을 가지게 되는 과정 안에는 인간이 육신의 형식에 관한 것으로 살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는 것을 창세기가 말씀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성경에서는 <세례>의 과정이라고 말하고 있다.(이것은 [평교인의 성경 보기/창세기] - (창세기) 천지창조 둘째 날 - 궁창 위의 물과 아래의 물 을 참조하면 설명이 되어 있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