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서는 기록 당시의 성경과 규례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 이유는 그 모든 것은 본질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자 함이다. 율법과 규례는 하나님이 주신 것인데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그렇게 하라는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히브리서 저자의 의도가 가장 잘 나타난 말은 아무래도 믿음장이라고 하는 11장의 3절 말씀이다.

믿음으로 모든 세계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지어진 줄을 우리가 아나니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아 된 것이 아니니라(히 11:3)


예법과 성막, 그리고 그 안에 있는 등대와 상과 진설병과 같은 모든 것은 첫번째 언약에 관한 것이라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지속적으로 말씀하고 있는 첫번째 언약과 새롭게 한 언약의 차이는 형식과 내용에 관한 말씀이다. 하지만 하나님께서 형식과 내용을 나누어 주셨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것을 사람들이 형식만 지키는 것을 첫 번째 언약이라고 하고, 예수님이 오셔서 하나님께서 율법과 규례를 주신 목적과 의미를 보여주신 것이 새 언약이다.


우리 눈에 보이는 세상으로 나타내셨다는 것은 나타나기 전에 이미 하나님의 의와 뜻이라는 내용이 있다는 의미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계명을 주실 때 이미 그 계명을 주신 목적과 의도가 분명하게 있었는데 사람들이 그것을 외면하므로 새 언약이 필요한 계명이 된 것이다. 내용과 뜻은 외면하니 율법이 되고 첫 번째 언약이 된 것이다. 하나님의 관점에서 첫 번째 두 번째가 아니라 하나님의 의와 뜻을 사람이 자기 맘대로 받음을 인하여 하나님께서 온전한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시니 예수님 오시기 전의 것이 첫 번째 것이 된 것이다.


이것은 성소의 구조에서도 증명이 된다. 첫 번째 성소가 있고, 다음 지성소가 있는데 이 지성소에는 피 없이는 들어갈 수 없다. 모세의 율법에도 지성소에 들어가려면 피 흘림이 있어야 했고, 지성소는 함부로 들어가지도 못했고 들어 갈 때도 향을 피워 안이 보이지 않게 했다. (레 16장) 이런 모든 규례에 대하여 히브리서는 비유라고 했다. 지성소의 모양과 규례가 본질이 아니라는 말이다. (히 9:9) 


그리고 이 모든 것은 개혁이 있을 때까지 해당하는 육체의 예법이라고 말씀한다. 이는 육신으로 지켜내는 모든 것은 형식이고 나타난 것이고 개혁 곧 그리스도께서 제사장으로 오는 개혁이의 때까지 유효한 일이라는 말씀이다. 그것은 예수님께서 그리스도로 오면 이 모든 형식에 관한 것, 비유로 나타난 것은 다 옛 것이 되고 하나님께서 의와 뜻이 형식과 하나가 된 온전한 제사와 율법과 규례가 된다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이 말씀에서 유념할 것은 히브리서가 율법과 유대인들의 제사의 규례에 대하여 말씀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시대와 민족과 관습이 다른 오늘날의 사람들이 개혁 없이 이 말씀이 자기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예수님께서 드린 제사가 자신의 것이 되지 않았는데 단지 AD시대를 산다는 것 하나만으로 자신이 내용과 형식이 하나가 된 사람이라 생각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항상 언급하는 것으로 율법과 복음의 차이는 시대의 차이나 구약, 신약의 차이가 아니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히브리서가 말씀하고 있는 첫 언약이 된 율법이 단지 모세의 계명과 구약 성경의 계명이라고 생각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모세에게 주신 계명이 온전하지 못해서 하나님께서 새 언약을 주신 것이 아니다. 계명이 되었다는 것은 이미 그 전에 내용인 하나님의 의가 있는데 그것을 외면하고 형식만 지킴으로 사람이 율법을 만들었다.


계명의 본질이나 내용인 하나님의 의는 외면하고 제사와 규례만 남았다고 하는 것은 제사를 지내기만 하면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신다고 생각하는 것, 그것이면 하나님을 섬기는 본분을 다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하시는 말씀이다. 그러면 오늘날 대부분의 신앙인들의 모습이 이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십일조와 교회에서 정한 헌금을 한 것으로 자신이 하나님께 바칠 것을 잘 바쳤다고 생각한다. 하나님은 거지가 아니다. 


또 빠트릴 수 없는 것이 있다. 예배와 교회에 모임에 참석하는 것으로 또 하나님께 본분을 다했다고 생각하는 것도 같다. 하나님이 필요하신 것은 우리의 삶이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삶이 되도록 하나님의 임재에 나를 드리는 것이 본론이다. 그것 없이 헌금으로 하나님께 무엇을 드린다고 생각하는 것은 하나님을 기만하는 것이다. 그런 생각들이 모두 육체의 예법이다. 그것으로는 온전한 제사가 될 수 없다. 당연히 예수님이 드린 제사도 아니다. 그것은 신앙이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