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는 빚?


주기도문에서 간구하는 내용은 4가지 이다.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의 죄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시험에 들게 하시 마옵시고, 악에서 구원하소서 이렇게 네가지 이다. 이런 간구들 앞에 나오는 ‘하늘의 뜻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는 이 모든 간구의 대 전제이며 선언이다.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처럼 당연히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라고 선언하는 것은 하나님의 성호와 존재의 권세를 선언하는 것이다.


하늘이 바뀌면 당연히 땅이 바뀌듯, 사람에게 하나님의 뜻은 당연히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의 뜻이 그 안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가 비록 세상의 도덕과 법 아래 성인 군자라 해도 그는 죄인일 뿐인 것이다. 하늘에 봄이 왔는데 땅이 녹지 않는다면 문제가 되고, 땅에 거하는 사람과 짐승들은 그것을 심판하여 고치게 되는 것처럼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람은 다 죄인인 것이다. 일용할 양식을 달라고 기도하는 것은 우리가 그리스도의 정체성을 먹는 존재가 되게 해 달라고 간구하는 것이라고 앞에 포스팅 했다.


그리고 나오는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는 또 어떤 간구인가? 주기도문에 나오는 죄를 영어 성경에서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Sin이라는 단어가 아니라 debt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마태복음 6장 12절을 영어성경으로 보면 “Forgive us our debts, as we also have forgiven our debtors”(NIV 1984년판)이라고 되어 있다. 킹제임스 버전 역시 문장은 비슷하고 죄라는 단어는 동일하게 debt를 사용하고 있다. debt는 채무, 빚 이라는 의미의 단어이다. 그러므로 이것을 직역에 가깝게 번역해 보면 “우리가 우리의 채무자를 잊어버린 것 같이 우리의 채무를 잊어 주십시오”가 될 것 같다. 그러므로 주기도문에서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의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라고 기도하라고 하신 것은, ‘우리가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실 때에 메겨 놓으신 우리의 존재 목적을 달성하여 하나님께 빚을 갚는 자가 되게 해 주시옵소서’라고 기도하라는 것이다.


모든 피조물은 창조자에게 빚이 있다. 즉 갚아야 할 채무가 있는 것이다. 자동차는 그 만든 사람과 주인에게 잘 굴러다니고 안전하게 다녀야 하는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목적 안에 빚이 있다. 우리는 흔히 물건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죽었다’라고 한다. 시계가 가지 않으면 죽었다 하고, 다른 물건들도 잘 작동하지 않으면 요즘 흔한 말로 ‘맛 갔다’라고 한다. 즉 죽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빚을 진 것이고 창조주와 주인에게 죄가 되는 것이다. 불이 들어오지 않는 형광등은 그 주인에게 빛을 밝혀야 하는 빚이 있는데 빛을 내지 않으므로 죄가 있는 것이고, 시간을 알려주기를 바라며 구매한 시계가 가지 않으면 시간을 알려야 하는 빚을 갚지 죄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옛날에는 빚진다는 것은 죄가 있다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우리가 하나님 앞에 진 채무는 어떤 것일까? 그것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목적 안에서 빚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실 때에 메겨 놓으신 창조 목적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만드실 때 슈퍼맨처럼 만드실 수 없어서 이렇게 약하게 지으신 것은 아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모든 것을 표현하고자 하셔서 세상을 만드셨다. 


그래서 세상 안에는 너무나 위대하고 강한 것이 많다. 온 우주와, 지구에 있는 천둥과 번개며, 태풍은 물론이고 화산이며, 큰 해일이며, 또한 높은 산과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와 흐름을 막을 수 없는 강과 같이 사람으로서는 엄두도 못 낼 것을 다 하나님께서 이미 만드셔서 하나님께서 얼마나 강하고 위대함을 가지셨는지 충분히 표현 하셨다. 



그런 하나님께서 실수로 사람을 나약하게 만드신 것이 아니다. 하나님께서 사람을 이렇게 자기 맘대로도 못살게 만드신 것은 그런 연약함에 대하여 하나님께서 그 성품을 표현하시고 싶으셨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모든 것 되시며, 그 모든 것 안에는 연약함을 대함으로 사랑을 나타내고자 하시는 성품까지 포함해서 모든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람은 하나님께서 서로 사랑하라고 만들어 놓으셨는데, 언제나 연약함은 버리고 더 위대해지려고 늘 노력한다. 그리고 그 마음 안에 연약하고 나약한 모습은 하나님 앞에 악한 것이라 규정하는 선과 악에 대한 기준도 가지게 되었다. 이것이 선악과이다. 


하나님만이 선하신데, 사람이 어떤 것은 선하고 어떤 것은 악하다고 규정하는 마음이 있다는 것이 사람 안에 선악과를 먹은 결과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기준으로 사람의 존재 목적을 더 강해지고 더 위대해지고 사회적으로 더 성공하고 더 부유하게 되는 것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선함이라고 규정하는 자리에 떡하니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하나님께 범죄한 것이라는 것은 외면한 채 말이다. 하나님은 우리의 연약한 모습을 보시고 보시기에 심히 좋았다 하셨지, 아직 부족하니 더 위대해지기를 바라심이 아니다. 그것이 우리를 지으신 목적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은 그것을 추구한다. 그것이 자리를 떠난 것이고, 아직 빚을 갚지 못한 것이다. 그래서 주님은 이 빚을 갚는 사람이 되게 해 달라고 기도하라 하신 것이다.


생각해보면 모든 사람들의 마음 안에는 자기가 원하는 것을 쉽게 하지 못하는 자기 자신을 정죄하고, 자책하면서 그 자리를 떠나려고 애쓰는 마음이 가득하다. 그래서 더 위대하고, 권력 있고, 돈 많은 사람이 되려고 한다. 물론 그것은 외면할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육신의 삶을 영위하는 것 이상으로 그러한 것을 쟁취하는 것을 삶의 목적에 두고 살아가기 때문에 하나님께 범죄함이 되는 것이다. 그러한 죄를 하나님 앞에 사함을 받게 해달라고 하는 것은 다른 말로 보면, 우리가 하나님의 창조 목적에 합당한 삶을 살아가는 존재가 되게 해 달라고 기도하는 것이며, 그것은 또한 우리가 그리스도의 성품을 가지고 살아가기를 바라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이루어 빚을 갚는 우리의 삶이 되게 해 달라고 하는 것이기에 우리가 얼마나 그것을 사모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