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룻기 2:1-7) 룻과 보아스의 만남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룻기 Date : 2019. 11. 13. 10:28 Writer : 김홍덕

이제 주인공은 룻으로 전환된다. 나오미라는 시어머니, 자기와 종족도 다른 시어머니가 자신의 신이 은혜를 베푼다는 소문에 의지하여 자기 땅으로 가는 것에 의지해 자기 고향을 떠난 룻의 그 결단이 어떻게 보면 이 룻기의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어느 시대에 이 룻기를 대하더라도 자신에게 온전한 의가 없다는 것을 알고 난 다음에 하나님이 은혜를 베푸신다는 그 하나에 의지하여 자기 인생을 건 결단을 하는 것이 신앙의 시작이고 어떤 면에서 전부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룻기라고 할 수 있다. 


남편이 없다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하나님의 의가 없다는 것이다. 온전한 하나님의 의가 없는 사람은 모두 과부 룻과 같은 존재이다. 이것은 단순히 교회에 다닌다고 남편 있는 여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룻은 모압 여자라는 것이 그것을 설명한다. 모압은 자신이 하나님의 일을 걱정하는 종족이다. 이는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가진 신앙의 표본이다. 세상이 잘못되었으니 하나님께서 도우셔야 한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하나님께서 뭔가 은혜를 베푸시지 않아서 그렇다는 하나님 탓을 하면서, 그 하나님을 각성시키기 위하여 자신이 기도하는 모양인데 그것이 모압과 같은 모습이라는 것은 꿈에도 생각지 못한다.


그런 모든 사람들에게 룻과 같은 결단과 신앙의 모습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이 룻기는 말씀하고 있다. 그것이 1장의 내용이라면 이제 2장부터는 그런 결단이 하나님 앞에서 어떤 은혜를 입는지를 설명하시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룻기는 1장의 배경만 다 이해한다면 사실 거의 다 이해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2장 이후에 나오는 이야기들은 자기 힘으로 하나님의 일을 걱정하는 형식만 남은 신앙을 버리고 하나님의 은혜를 사모하는 사람에게 어떤 은혜가 어떻게 임하는지 말씀하시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시작은 룻과 보아스의 만남이다.


보아스는 유력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보다 더 핵심적인 것은 그가 룻의 시아버지 엘리멜렉의 대를 이을 수 있는 자격을 가진 사람 중에 한 사람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문화적으로 보면 오늘날 서구화된 사회에서는 좀 문제가 있지만 당시 계대결혼(후사를 이을 남자가 아들 없이 죽으면 그 동생이나 친족이 그 후사를 이어주는 결혼)이 정통적인 문화였다. 이 계대결혼은 대표적으로 예수님께 부활 논쟁을 벌인 사두개인들의 질문 속에 나오기도 한다.


이러한 풍습은 그 자체가 논점이 되기를 바람으로 성경에 기록된 것이 아니다. 그런 것이나 연구하는 사람들이 바로 외식하는 신앙의 전형이다. 이 룻기의 결말은 이방 여인인 룻이 예수님의 계보에 속한 사람, 곧 그리스도로 거듭난 사람이 되고, 또 그리스도를 낳는 조상이 된다는 이야기를 하시는 것이다. 즉 형식적인 신앙, 하나님의 일을 걱정하는 신앙을 가진 한 사람이 온전한 그리스도의 생명으로 거듭나는 과정에서의 결단에 대한 하나님의 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고향으로 돌아온 나오미와 생전 처음 베들레헴에 거주하게 된 룻, 이 두 과부는 스스로 생계를 이을 수 없었다. 그러나 유대인의 법에는 추수할 때에 곡식을 거두는 과정에서 남은 이삭을 거두지 말고 과부와 고아를 위하여 두라고 한 율법이 있었다. 이에 의지하여 룻은 이삭줍기하기를 나오미에게 고하고 갔는데 마침 그곳이 보아스의 밭이었다. 이것은 우연인 것 같지만 하나님의 법이다.


많은 사람들은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 일어나는 행운과 같은 것을 하나님께서 특별히, 각 사안별로 특혜로서 베푸시는 것으로 생각한다. 예를 들면 새벽기도회 다니면서 공부한 사람이 좋은 대학이나 직장을 가면 새벽기도회에 열심히 다닌 정성을 인하여 하나님께서 은혜를 베푸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그것이다. 여기에는 새벽기도회에 가는 행동, 즉 행위를 하나님께서 의롭게 여기신다고 믿는 율법적인 신앙이 그 배경에 있다. 새벽기도회를 가는 행동이 은혜를 베푸는 것이 아니라 은혜를 받은 사람이 새벽에도 기도를 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율법적인 신앙, 행위로 하나님 앞에 의로워지려는 신앙을 가지고 있으면 룻기도 같은 맥락에서 고향을 떠나 하나님의 은혜를 따라 나선 룻의 행위가 우연을 가장하여 마음씨 좋고 결국 자신의 남편이 되어 줄 보아스를 만나도록 하나님께서 구성하셨다고 믿는 것이다. 룻도 사람인데 자기 마음에 동하는 것 없이 행동이 나올 리가 없는 것이다. 룻에게 남편이 간절했듯, 하나님의 의에 대한 간절함이 있어야 하나님의 의를 찾아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길을 나서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길을 나섰다는 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기대하신 계획  안으로 들어온 것이다. 그러니 그 다음에는 하나님의 경영하심, 하나님께서 자신을 찾는 이들에게 은혜를 주시는 그 약속대로 삶이 전개되는 것이다. 자신이 삶을 그렇게 전개해가니 하나님께서 복을 베푸시는 것이 아니다. 그런 신앙은 하나님의 인생의 행동에 반응하시는 하나님이 아니라 알파와 오메가 곧 모든 것을 계획하시고 주관하시는 분이라는 기본도 모르는 신앙이다. 기본도 모른다는 것은 구원도 거듭남도 없고, 하나님도 모르는 신앙이라는 의미다.


룻이 보아스를 만나고 또 아들을 낳기까지의 과정은 잘 각색된 드라마와 같이 우연과 행운이 연속적으로 겹치고 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룻과 관련된 일을 사사건건 룻에게 유리하게 간섭하시듯 전개한 것이라기보다, 하나님을 사모하는 사람, 하나님을 찾겠다는 사람들의 삶이 하나님의 약속대로 전개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부선에 올려 진 기차가 앞으로 가면서 우연히 대구와 대전을 지나게 되는 것이 아니라 경부선이라는 철로가 대구와 대전을 지나 서울로 이어진 것이듯, 룻에게 일어난 일은 룻이 하나님의 은혜를 찾는 사람이 되었을 때 그 삶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보여주시는 말씀이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