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7장) 엘리바스에 대한 욥의 반론 - 1

Category : 평교인의 성경 보기/욥기 Date : 2019. 2. 8. 18:22 Writer : 김홍덕

사실 말의 순서가 엘리바스 뒤에 이어져 있어서 그렇지 욥의 태도는 일관된 모습입니다. 그는 행위로 하나님께 죄를 범한 것은 없고, 하나님께서는 맘대로 하실 수 있는 분이라 자신에게 이렇게 고난도 주실 수 있는데, 당하는 자신은 태어나지 않은 만 못하고 고난이 그친다면 죽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하나님께서 사람을 대하시는 마음에 대하여 욥이 자기 입장에서 정의를 내리고 있다는 것입니다.


욥은 7장을 시작하면서 “인생은 전쟁 중에 있는 것 같고, 종살이 하는 것과 같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 말이 자기 이야기처럼 와 닿을 것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믿노라 하면서 인생을 고된 종살이나 전쟁과 같이 험한 세월이라고 여긴다면 그것은 하나님이 사람을 위하여 뭔가를 하시는 분이 아니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도리어 시쳇말로 하나님께서 사람을 가지고 노는 노리개 정도로 여긴다는 의미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참 어이없는 남의 이야기 같지만,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하나님을 믿든 아니든 모두들 인생은 곤고한 것이라고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에서 모든 것을 시작합니다. 하나님께 기도하는 것도 그렇습니다. 하나님께 평안을 구한다는 것, 늘 그리고 여전히 구하고 있다는 것은 평안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평안은 역시 육신의 일상에 관한 것입니다. 


존재의 평안은 다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세상이 주는 것과 다른 것은 존재의 평안입니다. 가정의 아이들이 자기가 그 집의 아이가 아니라고 의심하지 않는 것과 같은 존재의 평안입니다. 이 평안을 구해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하나님께 구하는 평안은 모두가 육신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한 평안입니다. 그리고 알고 보면 언제 평안하냐 하면 자기 뜻대로 되었을 때 평안하다고 여깁니다.


그렇게 육신의 평안을 지속적으로 구한다는 것 자체가 인생을 고난으로 여기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세상이 주는 것과 다른 평안을 가진 사람들은 그 존재의 신분이 늘 평안하고 성경에서 그렇게 자주 나오는 반석과 같아서 흔들릴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평안을 구하지 않습니다. 목숨을 앗아갈 수는 있어도 하나님의 아들인 것이 상실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이 주시는 평안을 가진 사람은 간혹 육신의 일에 대하여 평안을 구하기도 하지만 크게 다른 것은 언제나 결과에 순종할 수 있는 마음이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주시는 평안을 가졌다는 것은 예수님과 같은 본성을 가졌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십자가를 지는 것을 피하고 싶어 하셨지만 결국 본성에 이끌리어 가셨던 것과 같이 육신이기에 때로 고난을 피하고 싶기도 하지만 결국은 육신을 하나님이 쓰시는 대로 내어 놓는 본성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끝내 육신의 평안을 추구하는 것과는 근원적으로 다른 것입니다. 기도하는 것이라고는 육신과 혈육과 눈에 보이는 것이 자기가 원하는 대로 되는 평안을 늘 구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주신 평안을 가진 사람은 욥과 같이 인생을 고난으로 보지 않습니다. 육신을 하나님이 주신 목적에 소비하는 것으로 봅니다. 그것이 본성입니다. 그것이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과 같은 길을 가는 것입니다.


욥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고자 하시는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우리의 육신의 어떠함이 하나님의 의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넘어서, 하나님께서 인생에 대하여 얼마나 치밀하신 계획과, 창조주로서 미약한 사람에게 얼마나 정성을 쏟고 계신지에 대하여 말씀하시고자 하시는 것입니다. 이것이 엘리후의 변론 이후에 절절히 전개되는 것이 욥기인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단지 육신의 일로, 육신이 느끼는 것이나 바라는 것의 결과를 가지고만 모든 것을 판단하려 합니다. 그래서 보이는 것은 나타난 것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라고 하시고, 중심을 보신다는 말씀을 하시는 것입니다. 육신은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것에 소비되는 것일 뿐입니다. 그것이 때로 고난일 수도 있고 평안일 수도 있지만 하나님의 의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을 알면 하나님께서 인생에게 얼마나 정성을 다하시는지를 알 수밖에 없습니다. 욥은 아직 그것은 알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구입한 그릇은 때로 쇠로 된 수세미로 문질러지기도 하고, 때론 뜨거운 몰로 소독을 당하기도 하며, 때로는 마시다가 남은 음료가 상한 것을 보관하기도 합니다. 그릇의 입장에서 보면 그 모든 것이 고난과 같지만, 어떤 처분을 받든 주인이 음료를 마시겠다는 목적 안에 있기에 존재의 평안은 늘 있는 것입니다. 오히려 전혀 사용되지 않고 찬장에 박혀 있는 것은 너무 평안하지만 죽은 것과 같으니 우리의 인생도 이에 비유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의 인생은 전쟁 중에 놓인 것도 아니요, 종살이도 아닙니다. 인생이 전쟁에 휩쓸리는 것이 아니라 제 발로 전쟁에 들어가고 자기달이 옳다는 것을 주장하므로 서로 다투는 전쟁을 일으키고 참여하는 것이고, 스스로 재물과 같이 인생이 하나님의 의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야 할 도구를 목적으로 삼고 추구하고 섬기는 종이 되기는 하나, 하나님은 인생을 그런 목적으로 만드시지 않으셨습니다.


인생은 거룩하신 하나님의 영이 거하시므로 그 영과 하나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지음을 받았습니다. 그것을 순종하고 그것이 자기 존재의 운명임을 아멘으로 받아 살면 바울 사도를 비롯한 사도들의 고백이 자기 고백이 되고, 그 고백을 왜 했는지도 그 속에서부터 나와서 이유를 알게 될 것입니다. 하나님이 주신 모든 것이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다고 한 것이나,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것은 두려워하는 마음이 아니요 오직 사랑과 능력과 근신하는 마음이라고 하신 베드로 사도의 말과 같은 것들이 자기 고백이 될 것입니다.


그런 사람들에게 인생은 너무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내용이 들어오지 않으면 아무 짝에도 쓸데없는 인생인데 천지를 창조하신 전능하시고 유일하신 하나님이, 또 하나님이 사람을 만든 목적이 자기 삶의 근원이 되었다는데 어떻게 인생을 한탄하겠습니까? 그리고 고난이 어떻게 하나님의 괜한 심술이나 장난이나 벌로만 여겨지겠습니까?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성품을 드러내는 여정으로 보일 뿐입니다. 하나님은 욥을 통하여 그것을 말씀하시고자 하시는 것입니다.


,